제309회 달성군의회(제2차 정례회)
달성군의회사무국
2023년 11월 20일(월) 오전 10시
의사일정(제4차 본회의)
1.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의 건
부의된 안건
1.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의 건(군수 제출)
(10시00분 개의)
○의장 서도원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제309회 달성군의회 제2차 정례회 제4차 본회의를 개의합니다.
1.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의 건(군수 제출)
○의장 서도원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의 건을 상정합니다.
지난주에 이어 오늘 계획된 부서의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건축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축과장 정재용 건축과장 정재용입니다.
2023년 하반기 건축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409페이지입니다. 건전한 건축행정 정착 및 주거환경 개선입니다.
연초에 위반건축물 정비계획을 수립하여 위반건축물 지도 및 시정으로 신규 발생 건축물 195건, 정비 완료 132건, 이행강제금 167건을 부과하였습니다. 그리고 건축사 업무대행 사용승인 건축물 및 부설주차장에 대하여 25건을 분기별로 점검 완료하였으며, 또한 공개공지 의무 설치대상 15개소를 분기별로 점검 완료하였습니다.
그리고 농촌 빈집 정비사업은 30개 동을 선정하여 8개 동은 사업 완료하였고 18개 동은 추진 중에 있습니다.
410페이지, 농촌주택 개량사업은 11개 동을 선정하여 1개 동은 완료하였고 10개 동은 추진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대구광역시 건축행정 평가 추진에 대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411페이지, 건축물의 안전한 관리입니다.
민간 건축공사장에 대하여 연중 설맞이, 해빙기, 풍수해 대비, 우기 대비, 추석맞이 등 점검 시기별로 안전점검과, 그리고 상시 해체건축공사장에 대한 안전점검을 총 113개소를 실시하였습니다.
412페이지에서 413페이지입니다. 명품 주거단지 조성입니다.
주택건설 사업으로 다사읍 매곡리 다사역 금호어울림센트럴 아파트와 화원읍 설화리에 설화명곡역 우방아이유쉘 아파트를 사용검사 하였습니다.
관내 주택건설사업계획 승인된 현장은 5개 단지입니다. 이 중에 현재 실 착공한 주택건설사업장은 금포지구 우신미가뷰 1단지 등 3개 단지로써 안전관리계획 이행 및 품질시험 실시 여부를 수시 점검하고, 사업장 주변 민원을 사전에 예방 지도하는 등 사업장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습니다.
다음 414에서 416쪽입니다. 효율적인 공동주택 관리입니다.
공동주택 관리비용 지원사업으로 강창그린빌 등 19개 단지를 선정하여 10억 원의 사업비로 외벽 도색공사, 공용부분 방수공사, 보안시설 설치, 어린이 놀이시설 등 부대시설을 보수하는 데 지원하여 1차 보조금 6억 9,800만 원, 2차 8,900만 원을 지출하였으며, 7개 단지는 사업 완료하였고 12개 단지는 현재 추진 중에 있습니다.
또한 공동주택 관리규약의 제정 및 개정 신고와 입주자대표회의 구성(변경) 신고, 관리방법의 결정 및 변경 신고, 그리고 공동주택 행위허가 및 신고와, 공동주택 분쟁 관련 민원 해결 및 상담을 연중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건축과 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건축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공공시설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공시설과장 류상진 공공시설과장 류상진입니다.
공공시설과 추진실적 보고입니다.
419쪽입니다. 7개의 주요 건축사업 중 교육문화복지센터를 준공하고 화석박물관 등 3개 사업이 공사 진행 중이며, 화원 복합커뮤니티센터 등 3개 사업은 설계 및 행정절차 진행 중에 있습니다.
420쪽, 달성군 교육문화복지센터 건립공사입니다. 육아지원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노인복지관 등 복합교육문화공간이며 국·시비 64억 원을 포함하여 총 사업비 320억 원이 투입된 공사로써 금년 4월 준공 및 7월 개관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421쪽, 유가읍 상리에 공사 중인 달성 화석박물관 건립공사입니다. 총 사업비 258억 원, 지하 1층 지상 4층 연면적 6,000㎡ 정도이며, 인접한 부지에 대구과학관과 달성 테크노스포츠센터가 있습니다. 작년 6월 착공하여 내년 1월 준공 예정이며, 현재 내외부 마감공사가 순조롭게 진행 중에 있습니다.
422, 423쪽, 화원읍 천내리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인 주민공동체공간 ‘소통·봄꿈’ 건립공사와 청소년 및 영유아 지원센터가 입주할 ‘비상’ 건립공사입니다.
먼저 ‘소통·봄꿈’ 공사는 작년 10월 착공하여 내년 2월 준공 예정이며 현 공정률은 74%입니다.
‘비상’ 건립공사는 금년 7월 시공사가 선정되어 착공하였으나 인접 주택이 밀집되어 있는 부지 여건상 현재 주변 건축물 현황조사에 따른 공사 중지 중으로써 주민들과 협의 중에 있으며, 다음 달 지하층 공사 진행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424쪽, 화원 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사업입니다. 총 사업비 840억 원, 지하 4층 지상 7층 규모이며, 2022년 7월 사업계획 변경에 따른 교통영향평가 등을 추가로 진행하였으며, 현재 대구시 건설기술심의 중에 있습니다. 내년 3월 시공사 선정 및 착공을 목표하고 있고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공사 중에도 관련 부서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사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425쪽, 논공읍출장소 공공복합청사 건립공사입니다. 현재 내부 석면 철거공사가 완료되었고, 다음 달 본공사 착공하여 내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426쪽, 유치곤 장군 호국기념관 건립공사는 현재 실시설계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427, 428쪽, 타 부서에서 시행 중인 공사감독 지원사업 총 11건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이상 공공시설과 보고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공공시설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토지정보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토지정보과장 신현선 토지정보과장 신현선입니다.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431쪽입니다. 공정하고 투명한 부동산 거래질서 확립입니다.
금년도 부동산 거래 신고는 전년 대비 20.1% 증가한 3,704건을 처리하였습니다. 432쪽, 부동산 거래 신고에 대한 정밀조사를 383건을 실시하여 22건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였으며, 계약서 검인을 582건을 처리하였습니다.
2차 국가산업단지 및 농산물 도매시장 이전지는 토지거래 허가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433쪽, 부동산중개업소 510개소는 수시점검 하여 행정처분 23건을 하였습니다.
434쪽입니다. 부동산종합공부 자료 정비사업은 7,758건을 완료하였으며, 지적측량 성과검사는 1,925건을 비대면으로 실시하였습니다.
435쪽, 조상 땅 찾기 및 지적 전산자료는 필요로 하는 개인 및 유관기관에 1,413건을 제공하였습니다.
436쪽, 지적 재조사사업 추진입니다.
신당1지구 386필지는 조정금 징수 납부절차를 진행 중이며, 교항1지구 235필지는 지적확정 예정조서를 작성 중에 있습니다.
437쪽입니다. 지적기준점 3,232점에 대하여 현황조사를 완료하였고, 지적기준점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구소삼각점 30점을 발굴하였습니다.
438쪽입니다. 1월 1일 기준 및 7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는 4월 28일, 10월 31일에 차질 없이 결정 공시하였습니다.
439쪽입니다. 개발부담금 27건 10억 7,900만 원을 부과하여 11건 4억 4,000만 원을 징수하였습니다.
440쪽, 주소정보사업 추진입니다.
도로 신규 개설과 건축물 신축, 멸실에 따라 신규 도로명 부여 19건 등 359건을 처리하였습니다.
도로명주소 홍보를 위하여 안내도 및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으며, 주소정보시설물 설치 확충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주소정보시설물을 전수조사 하고, 노후 건물번호판 4,337건을 교체하였습니다.
441쪽, 동·층·호가 없는 다가구주택 등에 상세주소를 174건을 부여하였고, 등산로 등에 재난사고에 대비하여 국가지점번호판 10개를 설치하였습니다.
또한 응급상황 대응력 강화를 위하여 전기차 충전소 등에 사물주소 303건을 부여하고 번호판을 설치하였습니다.
442쪽입니다. 금년도 지명 정비대상 13건에 대하여 조사를 완료하였고, 12월 중 지명위원회를 개최하여 정비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이상으로 토지정보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토지정보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문화예술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예술과장 윤태영 문화예술과장 윤태영입니다.
문화예술과 소관 2023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445쪽입니다. 문화예술 진흥을 위해 달성문화재단과 달성문화원,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운영비 및 사업비 총 46억 원을 지원하여 문화예술 육성에 적극 힘쓰고 있습니다.
446쪽에서 447쪽입니다. 달성 대구현대미술제와 문체부 지역문화 매력 100선에 선정된 달성 100대 피아노 등 달성군을 대표하는 문화행사를 개최하였고, 가족단위 체험형 축제인 예스! 키즈존, 방송사 연계를 통한 고품격 가요제인 송해가요제, 찾아가는 지역 맞춤형 축제인 달성 문화교차로 등 다채로운 문화행사를 개최하여 지역민과 관람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종합예술축제를 추진하였습니다.
448쪽입니다. 군민의 문화예술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 참꽃 갤러리를 운영하여 내가 그리는 달성 등 올해는 11회, 2014년 개관 후부터는 총 122회의 전시회를 가졌습니다.
449쪽입니다. 대구 지역 최초로 법정문화도시에 선정됨에 따라 국비 75억과 시비 22억 5,000만 원을 확보하였으며, 5년간 본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달성문화도시센터를 지난 4월에 출범시켜 시민과 예술가 지원사업, 4개 권역 기획사업, 달성문화 원형 발굴사업 등 문화도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누구에게나 호혜로운 문화도시 달성을 실현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450쪽입니다. 구달천분교에 자리잡은 달천예술창작공간은 ’21년 4월에 개관하여 올해 3년째로 입주작가는 6명이며, 입주작가 프리뷰전을 시작으로 대구예술발전소 교류전, 달성현대미술제 특별전 참가 등 문화예술 활동 지원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구 대평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한 하빈 행복생활문화센터는 ’21년 6월 개관하였으며, 문화예술동호회와 예술단체 대관 및 기획 프로그램 2회와 주민참여 프로그램 24회를 운영하였고, 문화재단 문화사업과 연계한 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451쪽입니다. 달성문화센터와 사문진 상설야외공연장 운영 관리를 위해 12억 7,300만 원을 군 시설관리공단에 위탁하여 일상 속 생활문화를 위한 문화시설 운영 관리에 적극 힘쓰고 있습니다.
아울러 문화재단 사무실 이전에 따른 달성문화센터 리모델링 사업을 10월에 완료하여 기존 사무공간을 문화시설로 개선하였습니다.
452쪽입니다. 달성문화센터 수영장 보수공사는 실시설계 용역은 9월에 마쳤고, 11월에 공사 착공하여 내년 5월에 준공 계획입니다.
또한 달성 중부권 복합문화센터 건립사업은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6월에 완료하였고, 현재 도시계획 변경 관련 용역 진행 중으로 군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기반시설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453쪽입니다. 11월 초 용연사 자운문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되어 우리 군은 15건의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아울러 현풍 향교 명륜당 등 3건에 대해서도 시 지정문화재 지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도동서원 세계유산 등재 후속사업으로 도동서원 곳간채 보수 및 주변 정비공사가 12월 준공을 목표로 진행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사적 종합정비계획 수립, 세계유산 통합보존관리 홍보지원사업 등을 통하여 세계유산 도동서원의 보존과 활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454쪽입니다. 문화재 경상관리를 위해 문화재 재난방지시설 구축 운영과, 중요 목조문화재 관리인력을 배치, 운영하고 있으며 문화재 조사와 안전점검 및 소방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등 상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문화재 보존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무형문화재 보호 및 전승지원사업으로, 시 무형문화재인 하향주와 달성하빈들소리에 대한 전승실태 점검과 전수교육 및 공개행사 등의 지원을 통해 무형문화재의 전승 발전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455쪽입니다. 문화유산 보전을 위해 달성 하목정과 현풍 석빙고 등 국가지정문화재 보수정비 8건에 14억 1,600만 원, 현풍 향교 대성전과 남지장사 청련암 등 시지정 문화재 보수 정비 6건에 12억 7,700만 원, 향토문화재 보수 정비 4건에 4억 원, 전통사찰 보수 정비·방재에 7,800만 원을 들여 정비 완료 및 정비 중에 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문화예술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체육진흥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체육진흥과장 김진천 체육진흥과장 김진천입니다.
체육진흥과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459쪽에서 461쪽까지입니다. 먼저 군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체육진흥입니다.
군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체육대회를 개최하고 참가하였습니다. 생활체육대회로서 군수기 타기 24개 종목이 개최 완료되었으며, 전국대회로서 전국 동호인 테니스대회 등 2개 종목이 개최 완료되었습니다. 또한 시 단위 대회 참가로서 시장기 타기 생활체육대회 등 4개 종목이 개최 완료되었습니다.
건전한 여가문화를 위한 생활체육 운영을 위해 여성 생활체육강좌 등 다양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군 체육회에 운영비와 사업비를 지원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전문체육 육성을 위해 실업정구부와 장애인 휠체어테니스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체육시설업종 관리와 저소득층 여가 선용을 위해 스포츠강좌 이용권 사업과 장애인 스포츠이용권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462쪽에서 465쪽까지입니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공공체육시설 운영입니다.
달성 테크노스포츠센터 건립과 스포츠센터 어린이 놀이시설 설치는 올 9월에 건물 준공하였습니다. 현재 시운전 및 시설물 안전검사 등 개관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달성종합스포츠파크 다목적체육관 리모델링 사업은 올해 연말 설계 용역을 착수하여 내년 3월 설계가 마무리되면 제반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 5월 공사 착공, 10월 준공할 계획입니다.
달성국민체육센터 노후시설 개보수 사업도 올 연말까지 설계 용역을 착수하여 내년 3월까지 설계가 마무리되면 내년 5월 공사 착공해서 12월 준공할 계획입니다.
유가 한정리 일원 수목 관수 용역은 올 11월에 용역 완료하였습니다.
다음 466쪽에서 470쪽까지 군민 체력 증진을 위한 생활체육시설 확충입니다.
먼저 화원 명곡체육공원 유소년축구장 조성입니다. 올해 6월 형질의 경미한 변경은 승인되었으며, 현재 연면적 변경 승인은 국토부와 협의 중에 있습니다. 내년 6월까지 협의가 마무리되면 7월 공사 착공해서 2025년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사 세천리 야구장 및 축구장 조성은 올 2월에 실시설계 및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착수하였습니다. 올 10월부터 시 체육시설관리사무소와 협의 중에 있습니다. 내년 2월 하천 점용허가 등 제반 행정절차를 거쳐 내년 11월 공사 착공할 계획입니다.
하빈 면민운동장 시설 개선과 다사 매곡 테니스장 정비는 올 11월 중 전기 실시설계 용역이 마무리되면 내년 1월 공사 착공, 12월 준공할 계획입니다.
달성 테크노폴리스 생활체육광장 조성은 올 11월 중에 준공할 예정입니다.
달성종합스포츠파크 주경기장 리모델링 사업과 달성군민운동장 리모델링 사업 2차분, 그리고 구지1호공원 축구장 인조잔디 교체, 달성 강변야구장 인조잔디 설치사업은 올해 모두 준공하였습니다.
다음 471쪽에서 475쪽까지 건강 100세를 위한 파크골프장 조성입니다.
먼저 하빈 파크골프장 조성은 내년 7월까지 재해 및 환경영향평가 등 제반 행정절차가 마무리된다면 내년 9월 공사 착공토록 하겠습니다.
논공 위천파크골프장 확장 추진은 올해 7월 실시설계 용역 및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착수하였습니다. 내년 7월까지 협의가 마무리되면 내년 11월 공사 착공해서 2025년 5월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사 방천리 파크골프장 조성은 현재 실시설계 용역과 올해 9월 환경영향평가 용역을 착수하였습니다. 내년 11월까지 행정절차가 마무리되면 2025년 5월 공사 준공할 계획입니다.
원오교 파크골프장 조성은 올 10월에 환경영향평가와 하천점용 허가 신청이 완료되었으며, 11월 중 실시설계가 마무리되면 공사 착공해서 내년 6월 준공할 계획입니다.
옥포 강변 파크골프장 조성은 올 10월 도시계획시설 결정이 완료됨에 따라 11월 공사 착공해서 내년 5월 준공할 계획입니다.
구지 평촌 파크골프장 2구장 조성은 올 연말까지 하천점용 허가를 마무리하고 2025년 5월 착공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논공 위천파크골프장 조성, 유가 한정 파크골프장 조성, 달성보 파크골프장 재정비공사, 진천천 체육시설 재정비공사는 모두 준공 완료하였습니다.
이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체육진흥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관광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관광과장 조양래 관광과장 조양래입니다.
관광과 소관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479쪽에서 480쪽입니다. 대구 관광의 중심 명품 관광도시 달성 기반 강화를 위해 사육신기념관, 달성한일우호관에 1억 4,300만 원으로 주요 관광지 관리 및 시설물 유지보수를 실시하였고, 관광기념품은 15개 품목, 2,206개를 구입하였고, 신규 쇼핑백 1,733매를 제작해 군 방문객 및 대외기관 홍보용으로 활용하였습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한 민·관 전문가 참여 거버넌스 구성을 위해 관련 조례를 개정하였습니다.
481쪽입니다. 안전한 관광도시를 위한 관광사업체 관리를 위해 유원시설업 10개소, 여행업 24개소, 관광호텔업 3개소, 야영장업 9개소에 대해 상시 안전관리 지도 및 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482쪽에서 483쪽입니다. 머무르고 싶은 관광 달성을 위해 낙동강 캠핑&뮤직페스타를 구지 강변오토캠핑장에서 성황리에 개최하였으며, 달성관광투어버스, 달성군 관광해설사를 운영하였고, 타이베이 국제관광박람회, 서울국제관광전, 대한민국 국제관광박람회에 참가하여 달성군을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MBC ‘테마기행 길’, TBC ‘생방송 굿데이’, FTV ‘피싱캠프 탁탁’ 등 TV방송 및 영상 콘텐츠 사업도 진행하였고, 도쿄 여행사와 대만 여행사에 세일즈콜을 실시하여 대만 여자축구대표팀 외 단체 관광객 5팀 250여 명을 유치하였습니다.
484쪽입니다. 주요 관광지 벽화 조성 및 보수사업으로 다사 박곡마을에 1,900만 원으로 입체벽화를 조성하였습니다.
485쪽입니다. 지역 특성에 맞는 관광지 개발사업으로 화원 가족테마파크 조성사업 중 역사문화체험관을 준공하였고, 화원 관광지에 대한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개발사업을 문화재청과 협의 중에 있습니다.
486쪽, 세천 금호강변 가족캠핑장 조성사업은 개발제한구역 관리계획 변경이 승인되었으며 매장문화재 지표조사 용역에 착수하였고, 도동서원 주차장 조성사업은 주차면적 4,700㎡에 주차면수 84대로 조성 완료하였습니다.
487쪽, 도동지구 낙동가람 수변 역사누림길 조성사업은 올해 9월 공사 준공하여 시유재산 관리·운영사무 위임 협약서를 체결해 2024년부터 시설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488쪽입니다. 마비정 벽화마을 주차장 조성사업은 올해 추가경정예산에 분묘 보상금을 편성하였고, 협의보상을 진행 중이나 협의가 어려울 시 도시계획시설 실시계획 고시 및 수용절차 후 내년부터 조성공사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489쪽, 달성 화석박물관 건립사업은 6월에 달성 화석박물관 설치운영 조례를 제정하였고, 현재 건축공사는 마무리 단계이고 내부 전시설계 공사도 진행 중으로 내년 상반기 중 공사 준공, 시운전 후 개관할 예정입니다.
490쪽입니다. 비슬산 관광지 조성사업은 1차공사 사업비 25억 원으로 주차장 정비, 광장 조성, 매점 및 관광안내소 리모델링공사를 실시하여 내년 3월 중 1차사업 준공 예정입니다.
491쪽, 사문진 역사공원 지원에 사업비 14억 6,400만 원으로 주막촌 일주문 보수 및 임시주차장 재정비공사를 시행하였고, 비슬산 유스호스텔 관리에 사업비 10억 1,000만 원으로 호텔내부 계단, 수평난간살 보강 연장공사 등을 시행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492쪽입니다. 대구교도소 후적지 개발을 위해 교도소 후적지공간 활용방안 구상 용역을 시행하였고, 대구교도소 현장방문 및 현황조사, 기획재정부 국유재산 심의관 업무협의, 대구교도소 유휴부지공간 활용 설명회 등을 개최하였으며, 향후 국유재산 임대계약 등 행정절차 이행과 유휴부지공간 활용 조성공사를 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관광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관광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공원녹지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원녹지과장 박대수 공원녹지과장 박대수입니다.
공원녹지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495쪽입니다. 조경지 및 수목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기간제 근로자 운영 및 가로수 보식 등 사후관리 사업을 연중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496쪽, 밝고 쾌적한 녹지 조성을 위하여 논공 금포리 가로수 조성 등 7건의 사업은 완료하였고, 가로수 정비 및 특화거리 조성 등 6건의 사업은 일정에 따라 정상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497쪽입니다. 아름다운 정원도시 조성을 위하여 송해공원 등 주요 관광지에 계절별 꽃길을 조성하고 있으며, 다사 세천늪 무궁화동산 조성 등 8건의 정원 조성 및 화훼 식재사업은 완료하였고, 생활권역 실외정원 등 2건의 사업은 연말까지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498쪽, 산림휴양공간 조성 분야입니다. 산림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숲길 28개 노선, 임도 27개 노선에 대하여 고사목 제거, 노면 정비 등 유지관리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치유의 숲, 유아숲체험원 등 산림복지 및 교육 프로그램도 3월부터 11월까지 운영하고 있습니다.
499쪽, 주요 산림사업으로는 생활권 등산로 정비 등 6개 사업은 완료하였고, 논공 노이리 임도 신설 등 5개 사업은 토지소유자 동의 등 행정절차 수행 및 사업별 일정에 따라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음 500쪽, 501쪽, 산림자원 보호 분야입니다. 산불 예방 및 신속 진화를 위하여 진화헬기 임차 및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소나무림 보호를 위한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은 9월까지, 산림재해 예방을 위한 산사태 현장예방단은 10월까지 운영을 하였습니다.
산림자원 보호사업으로는 2023년 하반기 재선충병 방제사업 등 총 11건에 대하여 23억 2,400만 원의 예산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사업별 일정에 따라 차질 없이 완료되도록 하겠습니다.
502쪽, 503쪽, 공원 조성 및 관리 분야입니다. 다사 대실근린공원 등 도시공원 57개소와 송해공원 등의 관리를 위하여 수목 및 시설물 관리 등 사후관리 업무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공원 조성 및 정비사업으로는 옥포 강림소공원 조성 등 8건의 사업은 완료하였고, 하빈 삼태장터 우목 제2어린이공원 조성 등 9건의 사업은 공사 일정에 따라 정상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유가 과학관공원 리뉴얼사업 및 창의놀이터 특화사업은 설계공모 및 협상에 의한 계약방식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끝으로 504쪽, 505쪽, 남부권 공원녹지 관리 분야입니다. 현풍·유가·구지권 녹지 및 도시공원 39개소 관리를 위하여 수목 전정 등 유지관리 작업을 연중 추진하고 있으며, 공원녹지 사업으로는 테크노폴리스 중앙공원 전망대 보수 등 8건의 사업은 완료하였고, 수경시설 운영 등 4건의 사업은 11월까지 완료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공원녹지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공원녹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보건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건과장 권성열 보건과장 권성열입니다.
보건과 하반기 주요업무 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509쪽, 건전한 의료질서 확립 및 체계적인 의료시스템 구축입니다.
체계적인 의료시스템 구축을 위해 의료기관 등 64개소, 구급차 27대를 지도 점검하였으며, 의약품 유통질서를 확립코자 의약품 판매업소 137개소, 마약류 취급업소 803개소, 의료기기 판매업소 41개소를 점검하였습니다.
510쪽에서 511쪽입니다. 의료용 방사선 안전관리를 위해 방사선 관계 종사자 246명을 등록 관리하고, 연명의료 결정제도 홍보를 통해 570명에 대해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 등록하였으며, 응급의료환경 개선을 위해 테크노폴리스 지역에 응급의료기관 및 시설 지원사업 1개소 추진으로 24시간 응급의료서비스 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512쪽에서 513쪽입니다. 응급의료 및 재난 상시·신속 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가용 의료인력 및 장비 지원과 재난교육 및 훈련을 통해 재난 대응 지원체계를 구축하였으며, 구급차 운용 관리실태 점검과 자동심장충격기 등록 관리 506대, 심폐소생술 교육 41회 실시로 응급상황 시 인명구조 대처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514쪽에서 516쪽, 감염병 발생 대응체계 구축 및 역량 강화입니다.
감염병 선제적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역학조사반 및 비상대책상황실 운영, 의료기관, 학교, 사업체 등 110개소의 질병정보 모니터링을 운영하고 있으며, 신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통해 감염병 신고 2만7,455건에 대해 초기대응 및 관리를 철저히 해나가고 있습니다.
결핵 관리사업으로 68명의 결핵환자를 등록 및 추적관리 하고 있으며, 소집단 결핵 관리와 돌봄시설 종사자 잠복결핵 검진 528건 추진으로 지역사회 확산을 사전 차단하였습니다.
코로나19 대응업무로 확진자 병상 배정 및 2만 7,468명에 대해 확진자 기초 및 현장 역학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517쪽, 감염병 예방활동 강화입니다.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운영하여 5만 679건을 검사하였으며, 민간의료기관 79개소와 위탁계약을 통해 만 5세 이상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기초 및 추가접종을 실시하였습니다.
518쪽에서 520쪽입니다. 감염 취약시설에 대해 방문접종을 11회 229명 실시하였으며, 예방접종 관리사업으로 BCG 등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3만 8,904명, 만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 폐렴구균 백신 1,559건 접종하였으며,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도 6만 726명에 대하여 차질 없이 진행하였습니다.
감염병에 대한 행태 개선사업으로 예방교육 39회, 홍보활동 44회를 실시하였으며, 방역소독반 10개 반 18명을 편성하여 감염병 예방 방역소독 업무에도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521쪽에서 522쪽, 맞춤형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입니다.
건강한 삶을 위한 진료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보건소, 보건진료소, 보건지소에서 1차 진료 및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상담으로 독거노인 등 의료 취약계층의 건강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만성신부전 등 59종 희귀질환 환자 149명에 대해 의료비 지원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건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보건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강증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강증진과장 한승호 건강증진과장 한승호입니다.
2023년 하반기 건강증진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525쪽입니다. 건강으로 빛나는 달성, 군민건강지킴이 관련입니다.
지역 주민의 건강 형평성 제고를 위하여 추진한 이동건강버스 사업은 지난 10월 13일 개통 운영 중에 있으며, 만성질환, 운동, 영양관리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맞춤형 건강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26쪽입니다. 건강한 혈관 만들기 환경 조성을 위하여 심뇌혈관 질환자 조기발견 및 등록관리 사업을 실시하고, 취약계층의 영양 위험요인 해소를 위하여 영양플러스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27쪽입니다. 유아기와 청소년기의 건강관리 능력 배양을 위해 아이사랑 부모교사 교육, 청소년 건강체험교실, 건강한 돌봄놀이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생활터 중심으로 찾아가는 성인 건강관리 사업을 함께 추진하고 있습니다.
529쪽입니다. 질환 예방으로 군민이 빛나는 달성 부분입니다.
건강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AI· IOT 기술을 활용한 어르신 건강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30쪽입니다.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과,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을 추진하고, 생활터 중심 노인운동교실인 ‘신바람! 실버벨 인지자극 운동’ 사업을 추진, 노년기 인지기능 향상을 지원하였습니다.
531쪽입니다. 지역사회 중심 금연 지원 서비스를 위해 금연교육 및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간접흡연 피해 예방을 위한 지도 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532쪽입니다. 암 검진비 지원, 암환자 의료비 지원, 의료급여 수급권자 건강검진비 지원 등의 국가암검진 및 건강검진 사업을 추진하고, 지역 건강통계 산출을 위한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533쪽입니다. 건강한 가정, 든든한 달성 부문입니다.
임산부 건강관리 및 의료비 지원을 통해 달성맘 행복 플러스 환경을 조성하고, 튼튼한 아기, 든든한 미래를 위해 태아기형아 검사비, 영유아 건강검진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등을 지원하였습니다.
535쪽입니다. 행복한 출산장려환경 조성을 위해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출산 축하금 지급, 아기사랑 유모차 대여사업 등을 추진하였습니다.
537쪽입니다. 나누는 마음, 함께하는 정신건강 부문으로, 치매 예방 및 환자 관리를 위하여 치매환자 조기검진 및 등록 관리, 치매 치료비 지원, 치매 인식개선 및 예방 프로그램 운영 등의 치매 관리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538쪽입니다. 지역사회 정신건강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달성군 정신건강복지센터 및 정신재활시설을 위탁 운영하고,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 등의 정신건강 증진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539쪽입니다. 건강 UP! 맞춤형 건강생활 실천 부문입니다.
통합 건강관리서비스 제공을 위해 건강관리실 및 체력단련실을 운영하고, 맞춤형 건강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사증후군 예방관리사업, 모바일 헬스케어사업, 생애 주기별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습니다.
541쪽입니다. 구강건강생활 실천 환경을 조성해 구강건강 교육 및 홍보, 어린이 양치교실, 학교 구강보건실을 운영하고, 저소득층 어르신 무료 틀니 지원사업 등의 취약계층 구강건강 관리사업을 함께 추진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건강증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 마지막으로 농촌지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촌지도과장 김기홍 농촌지도과장 김기홍입니다.
2023년 농촌지도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545쪽에서 546쪽입니다. 소비자 맞춤 식량작물 생산기반 조성을 위한 벼 육묘용 상토를 1,054호에 지원 완료하였으며, 정부 보급종 종자를 희망농가 대상으로 연중 공급 중이며, 우리밀 재배농가 지원사업 등 4개 사업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을 위한 토양검정 1,000점 및 가축분뇨 퇴비 부숙도 분석을 50점 완료하였습니다.
547쪽입니다.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기술 보급사업 8개 사업 중 양념채소 품질 향상, 농자재 지원사업 등 5개 사업을 705호의 농가를 대상으로 추진 완료하였으며, 나머지 3개 사업도 315호를 대상으로 차질 없이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548쪽입니다. 첨단기술 도입을 통한 농작업 환경개선사업 4개 사업 중 마늘 저비용 가변형 건조시스템 지원사업 등 3개 사업을 29호의 농가를 대상으로 완료하였으며, 비닐하우스 측창개폐기 사업도 28호의 농가를 대상으로 차질 없이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농업환경 변화 대응 고품질 원예작물 생산기반 조성 3개 사업도 281호의 농가를 대상으로 차질 없이 추진 중입니다.
549쪽입니다. 기후변화 대응 및 고품질 과실 생산을 위하여 액상석회유황합제 보급사업 등 6개 사업을 548호의 농가를 대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550쪽입니다. 축산 및 특용작물 기술 보급을 위한 양봉 신소재 벌통 보급사업 등 2개 사업을 완료하였으며, 과학영농시설 운영을 위한 5개 사업을 연중 차질 없이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551쪽입니다. 농기계 임대실적은 1만 348건이며, 농기계 안전사고 제로 달성을 위한 교육훈련 2개 사업도 연중 추진하고 있으며, 농기계 임대사업 활성화를 위하여 신기종 농기계 16종 46대를 구입하였습니다.
552쪽에서 553쪽입니다.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상자텃밭 조성사업 등 3개 사업을 38개소를 대상으로 완료하였으며, 차별화된 도시농업교육 운영 및 선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5개 사업을 978명을 대상으로 완료하였으며, 농촌자원 활용 및 농촌여성 역량 개발을 위한 4개 사업 중 3개 사업을 2,050명을 대상으로 추진 완료하였으며, 우리 쌀 이용 가공기술 교육도 500명을 대상으로 차질 없이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554쪽에서 556쪽입니다. 농산물 종합가공기술지원센터에서는 56명의 조합원을 대상으로 49종의 상품을 출시하였으며, 가공 창업 아카데미 교육 및 마케팅기술 지원사업 등 농업인의 가공 창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 농특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한 참달성 쇼핑몰 운영 홍보 및 판로개척사업 9건도 추진하였습니다.
557쪽입니다. 현장 중심의 맞춤형 영농 교육으로 새해농업인 실용교육 및 귀농귀촌 교육을 1,300명을 대상으로 교육하였으며, 기타 농업인 교육도 차질 없이 추진하였습니다.
끝으로 558쪽에서 559쪽입니다. 농촌지도자회, 농업경영인회, 생활개선회, 4-H연합회 등 2,175명의 농업인 학습조직체 회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행사를 차질 없이 실시하였으며, 품목별 농업인 해외연수도 3기 81명 대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농촌지도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농촌지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3일간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모두 보고받았습니다. 보고하신 실·단·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10시47분)
○의장 서도원 다음은 휴회 결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행정사무감사특별위원회 활동을 위하여 11월 21일부터 11월 29일까지 9일간 본회의를 휴회하고자 하는데 의원 여러분, 이의 없습니까?
(「예」 하는 의원 있음)
이의가 없으므로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오늘 회의는 이것으로 모두 마치겠으며, 11월 30일 목요일 오전 10시 회의실에서 제5차 본회의를 열어 2024년도 예산안에 대한 심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0시48분 산회)
[표결 찬반의원 성명] |
○휴회의 건 |
-표결 참여의원(12인) |
-찬성의원(12인) |
서도원 신동윤 김보경 김은영 |
곽동환 전홍배 박영동 박주용 |
신달호 최재규 양은숙 이연숙 |
-반대의원(0인) |
-기권의원(0인) |
○출석 의원(12인) |
서도원신동윤김보경김은영 |
곽동환전홍배박영동박주용 |
신달호최재규양은숙이연숙 |
○출석 공무원 | |
군수 | 최재훈 |
부군수 | 배춘식 |
자치행정국장 | 김종호 |
경제환경국장 | 표준식 |
교육복지국장 | 나상권 |
건설도시국장 | 석주홍 |
문화관광국장 | 서재혁 |
보건소장 | 권선영 |
농업기술센터소장 | 김수진 |
기획예산실장 | 백두현 |
법무감사실장 | 류준영 |
정책추진단장 | 최태식 |
세무과장 | 서상호 |
징수과장 | 김언희 |
회계과장 | 윤종민 |
종합민원과장 | 김영배 |
일자리경제과장 | 박희범 |
교통과장 | 손계영 |
환경과장 | 이현주 |
농업정책과장 | 김현태 |
청소위생과장 | 곽윤환 |
교육정책과장 | 이원한 |
생활보장과장 | 박봉호 |
희망지원과장 | 박영미 |
건설과장 | 배윤대 |
안전총괄과장 | 윤대영 |
도시계획과장 | 곽병하 |
도시정비과장 | 나채곤 |
건축과장 | 정재용 |
공공시설과장 | 류상진 |
토지정보과장 | 신현선 |
문화예술과장 | 윤태영 |
체육진흥과장 | 김진천 |
관광과장 | 조양래 |
공원녹지과장 | 박대수 |
보건과장 | 권성열 |
건강증진과장 | 한승호 |
농촌지도과장 | 김기홍 |
○의회사무국 참석자 | |
사무국장 | 방호현 |
전문위원 | 김철훈 |
전문위원 | 나태연 |
전문위원 | 송창훈 |
의사팀장 | 심용탁 |
지방속기주사 | 배진영 |
지방행정서기 | 황미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