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9 회달성군의회(제2차 정례회)
달성군의회사무국
2023년 11월 17일(금) 오전 10시
의사일정(제3차 본회의)
1.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의 건
부의된 안건
1.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의 건(군수 제출)
(09시59분 개의)
○의장 서도원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제309회 달성군의회 제2차 정례회 제3차 본회의를 개의합니다.
1.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의 건(군수 제출)
○의장 서도원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의 건을 상정합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 계획된 부서의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환경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과장 이현주 환경과장 이현주입니다.
환경과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73에서 174쪽입니다.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사는 환경행정 추진으로 주민의 친환경생활 실천을 위한 활동 지원과, 환경오염물질 배출 원인자에 대하여 배출부과금 등을 부과 징수하였고, 현풍 용흥지 데크로드 설치공사는 11월 중 착공하여 연내 완공코자 합니다.
유해 야생동식물 관리를 위해 포획단 운영과 울타리 설치사업으로 주민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175에서 177쪽입니다.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및 환경보건 관리를 위해 대기·소음 배출업소 243개소를 점검하여 위반한 108개소에 대하여는 조업정지 등 행정처분 하였고, 악취 배출원 관리를 위해 악취시료 자동채취장치 6개소를 운영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기오염 예·경보제 및 상황실 운영과 미세먼지 불법배출 예방·감시를 위해 감시원을 연중 운영 등으로 주거생활공간 주변 대기 및 소음을 관리해 나가고 있습니다.
176쪽입니다. 건강 피해 예방 보건 관리를 위한 슬레이트 71개 동 철거와, 다중이용시설 실내 공기질 41개소를 점검하였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포인트제 운영, 온실가스 진단 컨설팅 400가구 실시 및 달성군 탄소중립 전략 수립 연구용역을 추진 중에 있는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178에서 179쪽입니다. 깨끗한 수질환경 보전을 위해 폐수 배출업소 180개를 점검하여 62개소의 위반 사업장에 대하여는 사용중지 등 행정처분 하였고,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수질검사 등 폐수 배출시설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질오염사고 예방 및 신속한 방제를 위하여 환경오염상황실 및 감시초소 운영으로 하천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지하 수자원 관리를 위해 지하수 수질측정망 20개소에 대한 주기적인 수질검사와, 석유류 취급업소 등 토양오염시설에 대한 오염도 검사 등 빗물 이용시설 등 물 관련시설도 점검하였습니다.
180쪽입니다. 오수·가축분뇨 관리입니다. 개인 하수 및 오수·가축분뇨 처리시설은 내부 청소와 오염도 검사, 점검 등으로 관리하였으며, 각종 행사 시 화장실 설치 지원으로 주민 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마지막 181쪽입니다. 수자원 보호를 위한 상수원보호구역 관리로 가창과 강정의 상수원보호구역은 감시인력 14명을 배치하여 오염행위 단속 등 불법행위를 감시하고, 가창 공동오수처리시설 9개소 수질검사와 강정 상수원보호구역 내 공장 설립 제한 등 상수원 보호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이상 환경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환경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업정책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정책과장 김현태 농업정책과장 김현태입니다.
농업정책과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85쪽입니다. 농작물 재해보험료 지원사업으로 389농가에 4억 7,0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농업인 복지증진 및 공익직불제 사업에도 조속히 마무리하여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하겠습니다.
186쪽입니다. 농지 관리 및 농업경쟁력 강화의 일환으로 불법 농지전용 및 무단 용도변경 행위를 집중 단속하여 무단으로 농업 외 목적에 이용하는 농지가 없도록 사전에 관리하겠습니다.
187쪽입니다. 농업 경쟁력 제고의 일환으로 벼 병해충 무인항공방제 사업 등 4개 사업은 완료하였으며, 생산비 절감용 농기계 공급 등 나머지 사업도 조속히 지원하여 달성군 농업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
188~189쪽입니다. 친환경농업 육성사업으로 보리 계약재배, 농가장려금 지원 등 3개 사업은 지원을 완료하였으며, 나머지 사업도 조속히 농가에 지원하여 친환경농업 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
190쪽입니다. 원예 생산시설 기반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농산물 판매 박스 및 포장재 지원사업은 사업이 완료되었으며, 농가형 저온저장고 설치 지원사업은 현재 56명 중 40명이 완료되고, 나머지 사업도 조기에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191쪽입니다. 원예작물 소득증대 사업으로 맞춤형 채소류 토양비료 지원 등 10개 사업에 6억 1,400만 원을 지원하여 달성군 원예작물 소득 증대에 기여하였습니다.
192쪽입니다. 한우산업 경쟁력 강화 및 축산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면역증강제 지원 등 7개 사업이 조기에 완료되어 축산농가의 소득 증대 및 한우 고급육 생산에 기여하였습니다.
193쪽입니다. 제21회 달성 전국민속 소 힘겨루기 대회는 4월 중 개최 완료하여 민속문화 계승 및 군민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였습니다.
194쪽입니다. 가축전염병 차단 방역을 위해 가축질병 방역대책상황실을 24시간 비상상황을 유지하고 있으며, 거점 소독시설을 상황 종료 시까지 운영하여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차단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195쪽입니다. 축산물 안전성 강화를 위해 축산물 취급업소 인허가 및 지도 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명예 축산물 위생감시원을 운영하여 부정축산물 유통 (점검)을 강화하였으며, 동물보호 사업으로 유실·유기동물 입양비 지원 등 4개 사업에 2억 6,800만 원을 지원하여 길고양이 등 유기동물 보호에 앞장서 나가겠습니다.
이상으로 농업정책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농업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청소위생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청소위생과장 곽윤환 청소위생과장 곽윤환입니다.
청소위생과 소관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보고서 199페이지, 쾌적한 환경 조성을 위한 생활폐기물 적기 수거로 깨끗한 환경 조성입니다. 생활폐기물 수거 처리를 적기에 하고 불법 쓰레기 감시 CCTV를 9대 설치하여 깨끗한 생활환경 조성에 만전을 기했습니다.
청소인력 및 장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안전교육과 안전장비를 지급하고 청소차량 5대를 교체하였습니다.
다음은 200페이지, 안정적인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및 처리입니다.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 용역으로 2만 7,495톤, 재활용품 수집·운반 6,058톤을 처리하였습니다.
재활용품 수거체계 개선사업으로 폐건전지 교환사업, 종이팩 교환사업, 폐보온덮개 처리, 농촌 폐비닐 수거 보상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은 201페이지, 음식물류 폐기물 수집·운반 및 처리대행 용역입니다. 음식물류 폐기물 수집·운반 대행 용역하여 1만 199톤을 처리하였습니다. 공동주택 RFID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기를 와룡건영캐스빌 등 7개 공동주택에 41대 설치하였습니다. 대형폐기물 수집·운반하여 2,523톤을 처리하였습니다.
다음은 202페이지, 효율적인 사업장폐기물 관리입니다. 폐기물 관련 사업장 관리 강화를 위해 폐기물 관련 사업장 1,246개소에 대하여 지도 점검을 하여 고발 12건, 과태료 부과 39건, 시정명령 등 기타 15건을 하여 총 66건을 조치하였습니다.
고형연료제품 품질 관리를 위해 제조 및 사용업소 8개소에 대하여 준수사항과 품질기준 적합 여부를 점검하였습니다.
방치폐기물 발생 예방활동 강화입니다. 대상은 재활용업소 94개소이며, 재활용 실태와 보관량을 조사하여 허용보관량 초과 보관 시 처리이행 보증보험액을 증액 조치하였습니다.
다음은 203페이지, 지역 외식산업 역량 강화입니다. 우수음식점 개발·육성·홍보를 위해 음식점 위생등급제 180개소를 지정하고, ‘참맛 달성’ 홈페이지를 운영하여 우수음식점 안내 및 홍보를 하고, 2023 비슬산 참꽃문화제 2023인분 비빔밥 만들기 행사를 하였습니다.
시설 개선을 통한 위생적·편안한 외식환경 조성을 위해 입식테이블 설치 지원사업을 시행하였습니다.
시민건강 증진을 위한 나트륨 줄이기 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나트륨 줄이기 실천업소 11개소를 지정하고 홍보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다음은 204페이지,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강화입니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를 위해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를 운영하여 어린이급식소 위생관리 및 영양관리 지도를 679개 하였습니다.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 어린이 기호식품 취급업소 157개소를 점검하고 위생용품을 125개소에 지원하였습니다.
다음은 205페이지, 안전하고 공감하는 안심먹거리 등 기반체계 구축입니다. 식품접객업소 안전사고 예방 및 위생수준 향상을 위해 영업주 및 종사자 위생교육을 하고, 식중독 발생 우려 업소에 수거검사를 하였습니다.
노래연습장 등 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를 위해 동절기 다중이용업소 310개소에 안전점검 및 교육·홍보를 하였으며, 노래연습장, 단란주점, PC방 등 230개소에 전기안전 위탁점검을 하였습니다.
다음 206페이지, 빈틈없는 식품안전관리체계 구축입니다. 안전한 식품의 제조·유통기반 조성을 위해 55개소에 대하여 위생관리등급 평가를 하고, 부정·불량식품 지도 점검을 146개소에 하여 9개소에서 생산한 부적합 식품을 회수·폐기 조치하였습니다.
유통식품 등의 식품안전관리를 위해 식품 판매업소 472개소에 지도 점검을 하고, 국민다소비·건강기능식품 및 농수산물 400건을 수거 검사하였습니다.
부정·불량식품 신고센터에 접수된 민원 40건을 신속하게 처리하였으며, 시니어감시원을 활용하여 부당한 광고행위를 관리하고, 소비자 식품위생감시원을 운영하여 식품 유통·판매업소 250개소를 지도 점검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청소위생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청소위생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교육정책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육정책과장 이원한 교육정책과장 이원한입니다.
교육정책과 소관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09쪽에서 212쪽입니다. 명품 교육도시 조성을 위한 교육정책 추진입니다.
먼저 교육경비 지원사업으로 학교 교육시설 및 환경개선 지원, 인재양성 지원, 방과 후 학교 운영 지원, 유치원 및 중고등학교 무상급식비 지원, 고등학교 무상교육비 지원 등 16개 사업에 65억 6,8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향토생활관 입사생 선발은 6개 대학에 138명을 선발하였습니다.
213쪽입니다. 진로진학 지원사업으로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대학 입시설명회를 4회 개최하였고, 권역별 맞춤형 대입상담은 84회 실시하였습니다.
214쪽입니다. 교육문화복지센터 운영·관리로 2023년 4월 27일에 준공하였고 5월에 시설물 관리 원가계산 용역, 일상감사 및 계약심사, 6월에 용역비 2억 1,800만 원으로 전문용역업체에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 7월 5일에 개관식을 하였습니다.
215쪽에서 217쪽입니다. 보육의 공공성 강화 및 서비스 제고입니다.
먼저 보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군 시책사업으로 원어민 및 다문화 체험 지원, 영유아 대축제, 어린이집 냉·난방비 지원, 보육교직원 교통비 지원, 외국인 아동 보육료 지원, 장난감도서관 설치 운영 지원, 육아 토크콘서트 등 22개 사업에 33억 5,9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218쪽입니다. 보육료 및 양육수당 지원으로 영유아 보육료 지원, 부모급여 지원 등 5개 사업에 477억 9,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19쪽에서 221쪽입니다. 보육시설 운영비 지원으로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원, 누리과정 담임수당 지원, 담임교사 지원사업, 보조교사 인건비 지원, 공공형 어린이집 지원 등 21개 사업에 242억 1,4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22쪽입니다.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으로 신규 국·공립 어린이집 리모델링 및 공동주택 시설 및 환경개선비 지원에 40개소에 4억 4,9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23쪽입니다. 차별화되고 체계적인 평생학습도시 조성입니다.
지역 맞춤형 영어교육 프로그램 운영으로 원어민 영어교실 운영, 원어민 화상영어 학습센터 운영 등 2개 사업에 5억 3,6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224쪽입니다. 평생교육도시 조성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에 성인 문해교육 지원,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지원 등 2개 사업에 1억 8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25쪽에서 226쪽입니다.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도서관 운영 및 건립에 달성군립도서관 운영, 공립 작은도서관 운영,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연장 지원 등 8개 사업에 20억 8,8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27쪽입니다. 달성남부도서관 개관은 2022년 10월에 도서관 명칭을 달성남부도서관으로 선정하였으며, 2023년 7월에서 9월에 공간디자인 개발 및 디자인 가구 등 제작·설치, 용역사업자 선정 및 1차 용역보고회를 개최하였으며, 향후계획으로 2023년 7월에서 2024년 6월까지 정보화시스템 구축, 장서, 사무집기 및 가구 구입, 도서관 조직구성 완료 후 2024년 7월에 시범운영 및 개관토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28쪽에서 230쪽입니다. 청소년이 건강한 행복한 도시 조성입니다.
청소년 건전육성 및 보호로 청소년 문화활동,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운영, 청소년 건강 지원, 청소년동반자 인건비 등 15개 사업에 11억 6,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31쪽입니다. 청소년시설 지원에 4개 사업에 28억 6,9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32쪽입니다. 청소년단체 지원에 5개 사업에 1억 6,3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33쪽입니다. 맞춤형 교육도시 조성을 위한 교육재단 설립입니다.
추진 현황입니다. 2023년 5월 1일에 재단법인 달성교육재단 정관변경 허가 및 상근 임직원 정수를 승인받았으며, 5월 8일에 법인 정관변경 등 등기를 완료하였으며 6월에 재단사무실 조성, 업무 이관, 군립도서관 운영 수탁기관을 변경하였으며, 8월에 초대 대표이사 임명, 10월에 신규직원 4명을 임용하였습니다.
향후 계획입니다. 2024년 1월경에 달성교육재단 출범식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교육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복지정책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정책과장 권혁태 복지정책과장 권혁태입니다.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37쪽에서 239쪽입니다. 먼저 복지시설 운영 지원으로, 대구요양원과 재단법인 달성복지재단의 운영비 등 12억 9,5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보훈행정 추진을 위해 참전명예수당, 보훈예우수당 등 16억 4,000만 원을 지급하였고, 제1회 보훈가족 감사 한마당, 제1회 해외 파병용사의 날 기념식 개최, 무공수훈자회 상이군경회 등 10개 보훈단체에 운영비 등 2억 6,800만 원 지원과, 보훈단체 예우 및 국가유공자의 자긍심과 긍지를 고취하였습니다.
240에서 242쪽입니다. 건강하고 활력 있는 노후생활 지원을 위해 경로당 일거리 창출사업,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시니어클럽 운영 지원, 군 특화 노인일자리 사업 등 113억 7,000만 원을 집행하였으며, 경로당 운영비, 냉·난방비와 개보수, 임차료 지원, 환경정비사업, 생활 건강기구 등 개선비를 지원하였습니다.
달성군 노인복지관 등 3개 노인복지관에 운영비 등 33억 8,0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저소득 노인 생활 지원을 위한 기초연금을 2만 8,108명에게 709억 9,000만 원을 지급하였으며, 노인맞춤 돌봄서비스, 독거노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저소득 노인 성인용 보행기 지원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노인회, 양로시설과 재가노인 돌봄센터 4개소, 경증 치매노인 기억학교 3개소 등에 운영비 등을 지원하여 노인복지 서비스를 확대하였습니다.
다음은 243쪽에서 244쪽입니다. 여성의 활동역량 강화 및 사회참여 확대를 위해 여성친화도시 조성, 양성평등 및 여성권익 증진, 여성 능력 개발과 사회활동 확대 지원과 여성문화복지센터 운영비 등 17억 6,0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건강가정과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해 운영비, 취약 위기가족 지원, 다문화가족 특화사업, 아이돌봄 지원사업 등을 내실 있게 실시하고 있으며, 저소득 한부모가족 자녀가 건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아동양육비와 명절지원금 등 27억 3,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복지정책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복지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생활보장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생활보장과장 박봉호 생활보장과장 박봉호입니다.
생활보장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47쪽입니다. 먼저 저소득 주민의 안정된 생활을 위한 복지 지원으로서 국민기초수급권자 6,359가구에 생계급여 271억 1,300만 원 지원과, 양곡할인 지원, 저소득층 장례 지원 및 건강보험료를 지원하였습니다.
248부터 249쪽입니다. 시민행복보장제도의 일환으로서는 기초복지수급자의 기준을 초과하여 복지 지원에서 제외된 가구는 생계비와 난방비 등 별도의 시민행복급여를 지원하고, 저소득 취약계층에 대한 청소·소독 지원과 간병비를 지원하였으며, 거동 불편 어르신 보행보조기 지원과 가족 간의 유대 강화에 목적을 둔 가족사랑 여행과 가족 힐링캠핑 사업도 추진하였습니다.
250쪽입니다. 자활사업 내실화를 통한 자립기반 조성과 탈빈곤 및 근로기회 제공을 위해 조건부수급자와 차상위계층 218명에게 개인별 특성에 맞는 유형의 일자리를 제공하였으며, 저소득 수급자의 자활자립을 위한 자산형성 지원사업으로 ‘희망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사업도 추진하였습니다.
252~253쪽, 복지대상자 통합조사·관리로 신규 복지 신청자 1만 401가구에 대한 소득재산 조사와 급여자격의 적정성 여부에 대한 확인조사도 실시하였습니다.
254쪽, 주거 취약계층의 안정적인 주거생활 지원을 목표로 기초수급자 6,100가구에 대해 주거급여 97억 원을 지원하였으며, 노후주택 집수리사업과 임대주택 지원사업, 그리고 에어컨 등 냉방기기류 지원을 비롯한 에너지효율 개선사업도 추진하였습니다.
마지막 257쪽입니다. 건강생활 유지를 위한 의료급여 지원사업으로 요양비 지원, 건강생활 유지비 지원 등 5,118명에게 6억 9,3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수급권자 의료비 본인부담금 완화 사업과 의료급여 사례관리 사업도 추진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생활보장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생활보장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희망지원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희망지원과장 박영미 희망지원과장 박영미입니다.
2023년 희망지원과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61쪽에서 262쪽입니다. 복지자원 발굴 지원 및 이웃돕기 추진입니다.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추진으로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 장애인 등에게 심리지원 서비스 등을 지원하였습니다.
착한 가게·기업 등의 자원을 발굴하여 저소득 주민 및 사회복지시설에 지원하였고, 행복나눔 안부묻기 사업과 저소득층 자녀 책가방 구입비 지원사업도 추진하는 등 취약계층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코자 노력하였습니다.
263쪽에서 264쪽입니다.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 자원봉사센터 운영을 지원, 지역 특성에 맞는 자원봉사단을 발굴하고 자원봉사대학을 운영하는 등 자원봉사자 역량 강화에 노력하였으며, 달성군 종합사회복지관에서는 다문화가정 지원사업 등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였습니다.
265쪽입니다.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으로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저소득 위기가정을 사례관리 가구로 선정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 각 가정의 위기상황에 대처하였으며, 갑작스러운 위기로 생계 유지가 곤란한 2,107가구에 생계비, 교육비 등 28억 3,400만 원을 긴급복지비로 지원하였습니다.
266쪽에서 268쪽입니다. 코로나19 자가격리자 5,781가구에 생활지원비 6억 5,4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복지기동대 운영과 후원자 발굴을 통한 특화사업인 ‘꿈을 담는 스터디’, ‘행복 더하기!, 추억 더하기!’ 사업, ‘함께 찾아갑니데이’ 사업, 독거 중장년 고독사 예방을 위한 ‘온기한끼’ 지원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민관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내실 있는 운영으로 지역사회 보호기능을 강화하였습니다.
270쪽에서 271쪽입니다.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통합 지원을 위하여 장애인복지관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장애인복지시설 16개소에 91억 7,500만 원을 지원, 장애인단체 4개소에 1억 3,400만 원을 지원하였고, 장애인 생활 안정을 위해 장애인 연금, 수당, 의료비, 보조기기 교부·수리비 지원, 그리고 취업을 원하는 장애인 13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였으며, 가사, 간병 등 일상생활 지원이 필요한 장애인 650명에게 활동지원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272쪽입니다. 장애아동에 대한 발달재활서비스 사업과 공중이용시설 경사로 설치 지원, 노후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설치 지원사업 등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별 없는 지역사회를 위해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273쪽에서 275쪽입니다. 드림스타트 및 아동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입니다.
사례관리 및 지역자원을 발굴 연계하여 저소득 가정의 아동 및 가족에게 건강, 보육·교육, 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다 함께 돌봄센터를 개소하여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아동을 위해 학습과 놀이공간을 제공하였습니다.
지역아동센터 36개소에 운영비 지원과 아동복지교사를 파견하는 등 지역아동센터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며, 결식이 우려되는 아동 1,784명에게 20억 9,100만 원의 급식비를 지원하였습니다.
276쪽에서 277쪽입니다. 아동수당 지원, 가정위탁아동 지원, 입양아동 지원, 공부방 꾸미기사업 추진 등 취약계층의 아동이 소외됨이 없도록 촘촘하게 아동보호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278쪽에서 279쪽입니다. 아동학대 신고 161건, 현장조사 237건 등 24시간 담당 공무원이 근무태세를 유지하면서 피해아동 발생 시 즉시 출동하여 신속하고 적극적인 초기대응으로 아동이 안전한 환경 속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희망지원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건설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건설과장 배윤대 건설과장 배윤대입니다.
건설과 소관 2023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83쪽, 체계적인 건설행정 관리입니다.
총 437개 전문건설업에 대한 등록기준 강화와 약 4만 필지의 국·공유재산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285쪽, 도로시설물 유지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습니다. 아스팔트 포장보수 예산 12억 중 옥포 기세리 노후도로 포장보수 등 15개소에 약 7억 1,000만 원을 집행하였고, 도로시설물 정비 예산 약 14억 중 도로 긴급보수 등 31개소에 7억 1,600만 원을 집행하였습니다.
286쪽, 건설사업 추진입니다.
원활한 교통 소통과 주민 정주여건 향상을 위한 도로망 확충에 1,104억 원을 투입하여 181건의 도로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287쪽부터 311쪽까지 세부사업 추진현황은 서면으로 대신하겠습니다.
312쪽, 주요 현안사업 중 군 자체사업입니다.
논공휴게소 하이패스IC 설치사업은 현 공정률 10%로 현재 한국도로공사에 타당성조사 보고서를 제출한 상태로 본 사업이 조기 착공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지속적으로 협의토록 하겠습니다.
313쪽입니다. 다사 죽곡2리 강정마을~ 죽곡2지구 연결도로 개설사업은 현재 보상이 완료된 상태로 금년 10월 공사 착공하여 2024년 9월 준공 예정입니다.
유가 테크노3초등학교 통학로 개설사업은 공정률 55%로 현재 토공 및 교량상판 자재 제작 중으로 2024년 테크노3초등학교 개교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314쪽입니다. 군도3호선 옥포 기세리 위험도로 개선사업은 용역률 80%로 현재 설계 안정성 검토 및 대구시 건설기술심의가 완료된 상태로 2024년 보상 및 착공, 2025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현풍 달성문화원 옆 도시계획도로 확장사업은 현 공정률 50%로 금년 10월 공사 착공하여 2025년 3월 준공 예정입니다.
315쪽입니다. 현풍 국도 5호선~원오교 간 도로 확장사업은 보상률 82%로 작년 3월 보상통보 하였으며, 2024년 6월 공사 착공 및 2025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가창 우록 동회관~백록 간 도시계획도로 개설사업은 국비보조 사업으로, 현 공정률 65%로 작년 6월 공사 착공하여 2024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316쪽입니다. 가창 동부순환도로 개설사업은 현 공정률 70%로 2022년 3월 공사 착공하여 금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하빈 군도7호선 감문~대평 간 도로 확장사업은 보상률 26%로, 금년 2월부터 보상을 실시하여 2024년 하반기 공사 착공 및 2025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317쪽, 타기관 사업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성주 선남~대구 다사 국도30호선 건설공사는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중에 있으며, 2024년 하반기 보상 및 착공하여 2028년 준공 예정입니다.
318쪽, 교차로 구조개선 사업입니다. 국도 위험도로 병목지점 개선 7단계 기본계획에 반영된 차천 사거리 입체화 개선사업 및 달성군민체육관 사거리 교차로 구조개선사업으로, 2024년 상반기 대구국토관리사무소에서 실시설계 용역 예정이며, 2025년 공사 착공 및 2027년 준공 예정입니다.
319쪽입니다. 다사~왜관 간 광역도로 건설사업은 현 공정률 30%로 2020년 6월 공사 착공하여 2027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마지막 320쪽에서 321쪽입니다. 하빈 동곡~감문 간 도로건설 사업은 보상을 완료하고 내년 6월 공사 착공하여 2026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국가산업단지 2단계 서편도로 건설사업은 공정률 10%로 작년 6월 공사 착공하여 2027년 12월 준공 예정이며, 동편도로 건설사업은 보상률 10%로 2026년 1월 공사 착공하여 2027년 12월 준공 예정이나 현재 예산 확보 지연으로 전반적인 사업 추진이 지체되는 실정입니다.
이상으로 건설과 2023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건설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안전총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안전총괄과장 윤대영 안전총괄과장 윤대영입니다.
안전총괄과 2023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25쪽입니다. 재난안전 대응 강화 및 시설 안전관리 추진으로, 올 한 해 우리 군은 지난 2015년을 시작으로 8년 연속 지역안전지수 평가 5개 분야 1등급 선정으로 전국 최고 수준의 안전생활환경을 구축한 안전 1등도시로 평가받았습니다. 앞으로도 군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안전 1등도시 추진, 재난관리기금의 적극 활용, 재난안전 관련 사회단체, 의용소방대 등 운영을 활성화하여 재난안전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으며, 의원님, 각 실과소에도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327쪽입니다. 재난 발생 시 주민의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금년 9월에 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군부대, 소방서 등 21개 단체가 참여하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하였고, 또한 최대 관람객 1,000명 이상 모이는 군민체육대회 등 14건의 축제에 대하여 총 8회의 안전정책 실무조정위원회를 개최하여 안전관리 강화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328쪽입니다. 지하안전법 대상 지하시설물, 상수도 등 13개소의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였고, 시설물안전법 대상 시설물, 교량 등 796개소에 대한 안전점검을 해빙기부터 동절기까지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330쪽에서 335쪽입니다. 중대재해 예방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중대재해 예방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분야별 안전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중대재해 예방 역량 강화를 위한 산업안전보건교육과 지자체 발주공사 안전관리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 이행사항 점검, 위험성 평가 등 안전보건 관계법령 의무 이행사항을 추진하였습니다.
333쪽입니다. 안전·보건관리 전담인력을 1명씩 운영하며, 현업 근무자 889명에 대한 산업안전 보건관리를 실시하였고, 금년 10월 산업안전보건 우수기업 5개 사에 대해 인증서를 수여하는 등 달성군 산업재해 예방시스템을 구축 시행하고 있습니다.
336쪽입니다. 생활민방위 확립 및 주민보호체계 강화를 위해 금년 상·하반기 민방위 집합교육과 사이버교육을 실시하였으며, 8월 23일 을지연습 연계 민방위훈련을 시행하였습니다.
비상대비태세 확립을 위해 금년 8월 21일부터 24일, 3박 4일간 을지연습을 실시하였으며, 94개소의 비상대비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비상급수시설 6개소 수질검사와 화생방장비인 방독면 확충 등 시설장비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339쪽입니다. 자연재난 대비 사전 예방활동 강화를 위해 태풍, 호우, 대설, 한파, 폭염 등 각종 자연재난에 대하여 사전 및 비상 대비를 철저히 하여 대응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자연재난 예방활동으로 자연재난 사전 대비 실시와 자연재해 저감 종합계획 재수립 용역을 시행하였습니다.
342쪽입니다. 화원 설화 성산지구 자연재해 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으로 강변저류지 1개소 신설, 펌프장 1개소 증설 등을 추진하였으며 총 사업비는 국비 210억 원을 포함한 421억 원입니다.
현재 행정안전부 기본 및 실시설계 사전설계 검토 중에 있으며, ’24년 4월 착공 예정입니다.
다음, 여름철 폭염에 대비하기 위해 폭염경감시설 설치, 도로 물 뿌리기, 그늘막 16개소를 설치하였으며, 해빙기 및 우기 대비 관내 95개소의 급경사지 안전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344쪽입니다. 재해영향평가 심의위원회와 지역자율방재단을 운영하고 있고, 금년 10월에 집중호우 시 소하천 수위 사전 예측을 위한 소하천 스마트 계측관리시스템 5개소 설치를 완료하였으며, 재난 예·경보 설비 및 지진 가속도 계측기에 대한 유지보수를 연중 시행하고 있습니다.
346쪽입니다. 하천 및 재해 예방사업 추진입니다. 기세곡천 재해 예방사업 등 계속사업 10개소에 대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신규사업 9개소는 보상협의 전 행정절차 추진 등 행정사항 이행 중에 있습니다.
348쪽입니다. 기세곡천 재해예방사업입니다. 총 사업비는 국비 21억을 포함한 362억 원으로, 현재 여유고 및 경간장 부족으로 하천 정비 기본계획에 반영된 소교량 원전교, 반송5교, 반송7교 시공 중이며, 미진이지비아 등 간경리 지역 주민 교통불편 해소를 위해 도시계획시설로 결정된 하천 횡단 신설교량 설치 계획으로 6차 공사를 착공하였습니다. 공정률은 76%로 신설교량 절대 공기를 감안, ’24년 11월 준공 예정입니다.
현풍천 재해예방사업입니다. 총 사업비는 국비 11억 원을 포함한 149억 원으로 현재 현풍고등 하류 측 성하1리와 원교리를 연결하는 기존 잠수교를 폭 10.5m, 길이 150m, 신현풍교 상·하부공 등 공사 중에 있으며, 공정률 79%로 ’24년 3월 준공 예정입니다.
350쪽입니다. 쾌적한 수변환경을 위한 하천관리 강화를 위하여 하천구역 내 하천부지 국·공유재산 관리와, 무단 형질변경 등 불법행위 단속을 연중 시행하여 하천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올해 34건의 하천점용을 허가하였으며, 7,710만 원의 점·사용료를 부과하였습니다.
다음, 도시미관 개선과 지역 주민들의 여가공간 제공을 위한 현풍읍 경관광장 조성사업입니다. 총 사업비는 249억 원으로 금년 11월 준공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추진업무 실적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안전총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도시계획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계획과장 곽병하 도시계획과장 곽병하입니다.
도시계획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355쪽에서 356쪽입니다. 먼저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은 6건 중 5건을 완료하였으며, 농번기로 인해 지연된 1건도 차질 없이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개발제한구역 내 불법행위는 현재 32건을 적발해 2건은 원상복구 완료하였으며, 30건은 행정조치 하였습니다.
357에서 358쪽입니다. 현재 우리 군으로 위임된 폭 20m 미만 도로에 대한 도시관리계획 1단계 정비는 지난 10월 모두 완료하여 11월 10일 결정 및 지형도면 고시하였습니다. 현재 2단계에 대한 정비를 추진해 나가는 등 지역 여건을 반영한 도시관리계획 정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용금공단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은 지난 9월 시에서 용도지역 변경을 고시함에 따라 우리 군에서도 도시관리계획 결정을 9월 20일자로 최종 고시 완료하였습니다.
359쪽입니다. 화원 천내리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입니다. 현재 자체 공정률 57% 정도 진행되었으며, 거점시설 3개소 중 ‘나들이’는 5월 준공되어 실버카페, 평생학습실, 공유작업공간 등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의 ‘소통·봄꿈’도 68%의 공정률로 진행 중이며, 내년 2월 중 공사가 완료 예정이며,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비상’은 지난 7월 착공에 들어가 내년 말 준공 계획입니다.
360쪽입니다. 논공읍 하1리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은 지난 10월 준공 완료하였으며, 현재 준공백서 작성과 사업비 정산 등 마무리작업 중에 있습니다.
361쪽입니다. 화원 설화리 도시재생사업은 9월 거점시설 조성부지 매입 협의를 완료하였고, 10월 공유재산심의회 및 공유재산관리계획 승인을 득하였으며, 11월 부지 소유권 이전과 12월 건축물 기획설계를 마치고, 2024년 3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진행하겠습니다.
362쪽에서 363쪽입니다. 유가 달빛 특화거리 조성사업과 다사 진입관문 노후 옹벽 개선사업은 모두 마무리되어 상권 활성화와 도로변 환경이 개선되고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였습니다.
364쪽에서 366쪽입니다. 달성군 경관 기본계획 재정비 용역과 달성군 야간경관 가이드라인 및 시범사업 발굴 용역은 착수보고회, 중간보고회를 완료하였으며, 최종보고회를 거쳐 내년 2월 용역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특히, 달성군 야간경관 가이드라인 및 시범사업 발굴 용역의 경우, 시범사업 20개소에 대한 적정 대상지 발굴을 위해 현장조사 및 관련부서 의견 검토 중에 있습니다.
달성군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및 표준디자인 개발사업은 내년 2월 최종 용역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도시경관 및 공공시설물 등에 대한 통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각종 시범사업에 잘 활용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367쪽입니다. 가창 관문 상징조형물 설치 및 경관 개선사업은 지난 10월 공사에 착수하여 조형물에 대한 디자인 심의, 구조 검토 완료 후 공작물 축조신고에 수반되는 도로점용 및 개발행위 협의 중에 있습니다.
368쪽입니다. 논공 다다촌 특화거리 조성사업 실시설계는 지난 3월 용역에 착수하였으며, 내년 2월에 설계를 마무리하고 내년도에 공사가 본격 시행될 예정입니다.
현재 거점시설로 사용할 부지 2곳에 대해 매입 협의 중에 있으며, 올해 12월부터 달성 1차산업단지 진입로인 논공들을 대상으로 간판 정비사업을 추진하겠습니다.
369쪽, 다사 강창하이츠 앞 노후옹벽에 대한 경관 개선사업과 370쪽, 가창댐 둘레길 경관조명 설치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은 현재 용역에 착수해 추진 중이며, 연내에 완료한 후 내년도에 공사가 본격 시행되도록 하겠습니다.
370쪽에서 371쪽입니다. 주민참여 제안사업 6개 사업 중 국도 5호선 경관사업은 제안 공모를 통해 업체 선정을 마치고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며, 현풍 구도로 골목상권 활성화 사업은 설계 용역 및 관계기관 협의를 완료하였으며, 구지 국가산단 진입로 상징조형물 설치사업은 현재 상징조형물 제작 중에 있으며, 12월 중으로 공사를 마무리하겠습니다.
372쪽입니다. 옥포 전국 8대벚꽃길 송해공원 가는 길 야간경관 사업은 현재 설계 용역을 마무리하고 도로관리심의위원회 심의 중에 있으며, 하빈 평화예술촌 가는 길 경관개선사업은 도로점용 허가 협의를 마치고 공사 중이며, 하산1리 하목정길 마을 정비사업은 현재 벽화거리 사업을 완료하였습니다.
373쪽에서 374쪽입니다. 달성군 경관위원회와 달성군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는 조례에서 정하는 심의사항을 내실 있게 운영하였습니다.
375쪽에서 376쪽입니다. 하빈PMZ 평화예술센터는 2022년부터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마을 협동조합 등 마을 주민조직의 교육 및 작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송해기념관은 올해 4월부터는 달성군 장애인 재활자립작업장에서 1층 기념품 판매장을 위탁 운영하고, 3층은 ‘선비밥상’과 ‘송해밥상’ 등 음식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4월 이후 음식 체험 방문객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시설 관리와 프로그램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77쪽입니다. 불법 광고물 부착 방지사업은 올해 옥포, 가창, 하빈, 구지 등 8개 초등학교의 어린이보호구간에 519개를 부착하였습니다.
이상으로 도시계획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도시계획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도시정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도시정비과장 나채곤 도시정비과장 나채곤입니다.
도시정비과 소관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드리겠습니다.
381쪽입니다. 불법 노점 및 노상적치물 정비로 깨끗하고 안전한 가로환경 조성입니다.
관내 국도변 및 주요 간선도로상의 불법 노점상과 노상적치물에 대하여 지속적인 순찰 및 단속 강화로 보행자의 통행권 보장과 쾌적한 가로환경 조성에 만전을 기하였습니다.
올해 9월까지 추진실적으로 노점상 901건, 노상적치물 2,101건 등 단속 정비하였습니다.
382쪽, 하수시설 확충 및 정비로 살기 좋은 도시 조성입니다.
현풍 하수처리구역 오수관로 설치사업입니다. 총 사업비 309억 3,300만 원으로 ’20년 2월 착공하여 ’24년 1월까지 27개 리에 오수관로 설치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공정률은 82%입니다.
383쪽, 하빈지역 오수관로 설치사업입니다. 총 사업비 447억 9,400만 원으로 오수관로 41.1km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23년 3월 설계안전성 검토와, 8월 건설기술심의를 완료하고 현재 지방환경청과 재원협의 중에 있으며, ’28년 12월까지 사업을 모두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384쪽, 다사 서재리 오수관로 설치사업입니다. 총 사업비 136억 2,300만 원으로 ’20년 12월 착공, ’24년 4월까지 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며 현재 공정률은 74%입니다.
385쪽, 화원 천내택지지구 노후 하수관로 정비사업입니다. 총 사업비 99억 2,800만 원으로 ’21년 10월 착공, ’24년 2월까지 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며, 현 공정률은 85%입니다.
386쪽, 하빈면 현내 소규모 마을하수처리시설 개량사업입니다. 대구시의 하수도 정비 기본계획 변경 등 행정절차 이행을 위해 현재 용역 중지 중이며, 지방환경청과 재원협의를 거쳐 ’24년 5월까지 사업을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387쪽, 옥포, 현풍, 구지 및 388쪽, 다사, 화원, 가창 노후관로 정비사업입니다. 두 사업 모두 20년 이상 노후 우수관로 정비를 목적으로 ’21년 8월 실시설계 용역을 착수하여 신기술공법 및 건설기술심의와 지방환경청과의 재원협의 등 행정절차를 원활히 추진하여 ’26년 12월까지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389쪽, 옥포읍 기세, 반송, 김흥리 일원 오수관로 설치사업입니다. 사업비 213억 5,500만 원으로 오수관로 21.93km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대구시와 설계경제성 검토 등 행정절차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390쪽, 달성 1차산업단지 노후 폐수관로 정비사업입니다. 공단 지역은 한국환경공단에서, 주거지역은 대구시 도시건설본부에서 분담하여 사업 추진 중으로, 폐수관로 정비사업 위·수탁 협의 및 오수 간선관로의 국도5호선 통과를 위한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의 협의를 위하여 실시설계 용역이 중지되어 있는 실정입니다.
본 사업은 우리 군에서 추진 중인 용호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선행되어야 하는 사업으로 관련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통하여 조속히 공사가 착공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391쪽, 소규모 하수시설 설치 및 정비사업 추진현황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392쪽, 농업생산 기반시설 구축 및 수리시설물 관리 추진사항입니다.
농업생산 기반시설 구축을 위하여 자체사업 143건, 보조사업 2건, 한국농어촌공사 위탁사업 5건을 추진 중에 있으며, 28건은 준공하였습니다.
소규모 수리시설 개보수, 저수지 유지관리, 가뭄대책 관리, 농로 및 용수로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 14억 5,000만 원을 읍면에 재배정하여 시설물 유지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기타 세부사업 현황은 393쪽에서 402쪽까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403쪽, 가로등 및 전기시설 유지관리 사업 추진현황입니다.
관내 가로등과 보안등 신설 및 개체, 보수로 3억 5,200만 원, 수리시설물 유지관리 18억 3,300만 원을 투입하여 밝고 쾌적한 야간경관 조성, 농업용수의 안정적 공급, 수해로 인한 재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기타 상세한 세부사업 내역은 403쪽에서 405쪽까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도시정비과 보고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참조)
2023년도 하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
(군수 제출)
(별책)
○의장 서도원 도시정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계획된 부서의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모두 보고받았습니다.
보고하신 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오늘 회의는 이것으로 모두 마치겠으며, 다음 주 월요일 오전 10시에 제4차 본회의를 열어 나머지 부서에 대한 업무보고를 계속해서 받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0시58분 산회)
○출석 의원(12인) |
서도원신동윤김보경김은영 |
곽동환전홍배박영동박주용 |
신달호최재규양은숙이연숙 |
○출석 공무원 | |
군수 | 최재훈 |
부군수 | 배춘식 |
자치행정국장 | 김종호 |
경제환경국장 | 표준식 |
교육복지국장 | 나상권 |
건설도시국장 | 석주홍 |
문화관광국장 | 서재혁 |
보건소장 | 권선영 |
농업기술센터소장 | 김수진 |
기획예산실장 | 백두현 |
법무감사실장 | 류준영 |
자치행정과장 | 공진환 |
세무과장 | 서상호 |
징수과장 | 김언희 |
회계과장 | 윤종민 |
종합민원과장 | 김영배 |
일자리경제과장 | 박희범 |
교통과장 | 손계영 |
환경과장 | 이현주 |
농업정책과장 | 김현태 |
청소위생과장 | 곽윤환 |
교육정책과장 | 이원한 |
복지정책과장 | 권혁태 |
생활보장과장 | 박봉호 |
희망지원과장 | 박영미 |
건설과장 | 배윤대 |
안전총괄과장 | 윤대영 |
도시계획과장 | 곽병하 |
도시정비과장 | 나채곤 |
건축과장 | 정재용 |
공공시설과장 | 류상진 |
토지정보과장 | 신현선 |
문화예술과장 | 윤태영 |
관광과장 | 조양래 |
공원녹지과장 | 박대수 |
보건과장 | 권성열 |
건강증진과장 | 한승호 |
농촌지도과장 | 김기홍 |
○의회사무국 참석자 | |
사무국장 | 방호현 |
전문위원 | 김철훈 |
전문위원 | 나태연 |
전문위원 | 송창훈 |
의사팀장 | 심용탁 |
지방속기주사 | 배진영 |
지방행정서기 | 황미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