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74회 달성군의회(임시회)
달성군의회사무국
2019년 9월 19일(목) 오전 10시
의사일정(제2차 본회의)
1. 2019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
부의된 안건
1. 2019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군수 제출)
(10시00분 개의)
○의장 최상국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제274회 달성군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를 개의합니다.
1. 2019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군수제출)
○의장 최상국 안건을 상정하겠습니다.
의사일정 제1항, 2019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청취의 건을 상정합니다.
오늘부터 2일간 일정으로 실시하는 2019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는 의사일정에 따라 계획된 부서별로 보고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먼저 기획예산실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획예산실장 방호현 기획예산실장 방호현입니다.
기획예산실 소관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1쪽, 먼저 군정기획 및 조정기능 강화입니다. 신규사업, 정부정책 대응사업, 공모사업 등 시급한 사안에 대해 풀용역비를 적기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군정조정위원회 3회를 개최하였고 달성군 정책제안 공모전을 1회 개최하였습니다.
12쪽, 달성군 UCC 영상 공모전을 실시하여 5건을 채택하였고 홍보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민선 7기 공약 등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한 조직개편을 지난 3월에 실시하였습니다.
13쪽, 소통 강화를 위한 의회와 상생 도모를 위해 의정간담회를 5회 실시하였고, 지역 발전을 위한 상생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14쪽,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군정 홍보활동으로 언론사, 옥외광고물, 택시, 버스 등 운송수단, 달성소식지, 온라인 매체 등을 활용하여 신속하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대구시 신청사 화원 유치를 위해 일간신문 광고, TV스팟광고, 각종 홍보영상물을 활용한 SNS 홍보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신청사 유치 홍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16쪽, 성과 중심 재정운용으로, 지방재정 투자심사를 강화하고 신속집행 추진 및 소비투자 집행 관리를 통한 성과중심 재정 운용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17쪽, 재정 운영의 투명성 및 책임성 제고를 위해 지방보조금 관리를 강화하고,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해 주민제안사업 공모를 하여 최종 47건에 9억 3,400만 원을 선정하였습니다.
18쪽, 맞춤형 국·시비 예산 확보입니다. 2020년도 국·시비 예산을 238건에 2,853억 원을 신청하였으며, 예산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아울러 국·시비 공모사업을 적극 추진하여 8월 말까지 25건에 126억 원을 확보하였습니다.
19쪽, 다음은 보다 나은 달성을 위한 행정 혁신 및 평가입니다. 정부혁신 종합 추진계획을 반영한 군정혁신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20쪽, 또한 군정 주요업무 과제를 선정하여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달성군 출연기관 경영실적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민선7기 군수 공약사항 이행 평가 관리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1쪽, 지역 맞춤형 인구정책으로 산후조리원, 산부인과의원, 농협, 민간업체 등 44개소와, 저출산 고령화 대응을 위한 사회협약을 체결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대구시 저출산 대응 우수시책 경진대회에서 지난 7월에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2쪽, 또한 찾아가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인구교육을 총 23회 실시하였으며, 가족사랑 뮤지컬 순회공연을 4회 실시하였습니다.
23쪽, 달성맘 출산축하용품 지원, 다자녀가정 산후조리원 비용 감액, 지역농협 「우리아이 출생축하통장」 개설 지원 업무협약, 「다둥이 행복 가게」 외식비, 커트비 감액 지원 등 출산 및 양육을 위한 지원정책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난 8월 통계청 발표 합계출산율 대구시 1위, 전국 시·군·구 8위를 달성하였습니다.
24쪽, 마지막으로 서울사무소 활성화로 중앙부처 등과 대외협력을 강화하여 국비예산 확보를 위한 현업부서를 지원하고, 재경향우회, 출향인사의 활동 지원 등 대외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기획예산실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기획예산실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법무감사실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법무감사실장 류준영 법무감사실장 류준영입니다.
2019년 상반기 법무감사실 추진 주요업무 실적에 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27페이지, 법무행정 분야에서는 확립된 송무업무 체계 하 총괄관리를 통해 소송 및 행정심판 등에서 승소율 제고에 노력하였습니다.
28페이지, 법제 등 분야에서는 6월 말 현재 600여 회 사전 자문업무를 행하였고, 자치법규 제·개정 전 사전심사를 하였으며, 대한법률구조공단을 통하여 매월 1회 평균 15건의 무료 법률상담을 실시토록 하였습니다.
29페이지, 지방 규제개혁 추진 분야에서는 테마별 규제개혁 과제 12건과 민생 규제개혁 혁신과제 8건을 발굴하여 중앙정부에 개선 건의하고, 불합리한 자치법규를 정비하도록 하였습니다.
31페이지, 납세자보호관 운영 분야에서는 그 이용 제고를 위해 홍보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였고, 32페이지, 주민세 등 288건 556만 6,000원 고충민원을 시정 처리케 하였으며, 4월경 납세자 권리헌장을 정비하였습니다.
33페이지, 감사 분야에서는 의회사무국 등에 대한 종합감사, 본청의 보조금 집행실태 점검 및 달성군 청소년문화의집 등에 대한 재무감사를 실시하였고, 34페이지, 6월 말 기준 174건, 1,030여억 원 사업에 대한 일상감사를 하였으며, 35페이지, 6월 말 기준 74건 280여억 원 사업에 대한 계약심사에서 예산을 약 1.2% 절감하도록 하였으며,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도 시행하였습니다.
36페이지 조사 분야에서는 공직기강 확립을 위한 상시 감찰활동, 문제가 발생된 곳에 대한 조사활동, 민원의 즉각 해소를 위한 살피소 운영을 성실히 하였고, 37페이지, 군 산하기관 41개소에 대한 보조금 집행실태 특정감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법무감사실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법무감사실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자치행정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치행정과장 김외식 자치행정과장 김외식입니다.
41쪽입니다. 자치행정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활력이 넘치는 직장분위기 조성과 사기 진작을 위해 매월 1일 직원 정례조회와 매월 둘째 넷째 월요일 토론식 간부회의를 개최하였으며, 혁신과 변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운영으로 테마별 직원 한마음교육 2회, 공직자 직무교육 5회를 실시하였습니다.
42쪽입니다. 합리적이고 능력과 일 중심의 인사 운영을 위해 능력과 실적 중심의 보직관리로 일하는 분위기 조성과, 예측 가능하고 투명한 인사 운영, 찾아가는 인사상담 등 상시 인사 상담체제 구축으로 직원 애로사항 해소에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43쪽입니다. 가정친화적 근무환경 조성을 통한 직원 사기 진작을 위해 달성군청 직장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으며, 맞춤형 복지제도 운영과 직원 휴양시설 운영 등 다양한 복지시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44쪽입니다. 공무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국외 배낭연수와 장기근속 공무원에 대하여 국외연수를 실시하였습니다.
45쪽입니다. 군민이 만족하는 한마음 열린 군정 추진을 위해 매월 1회 모범선행군민을 발굴하여 표창하였으며, 어려운 가정 55가구에 대하여 사랑의 집 고쳐주기 사업도 추진하였습니다.
46쪽입니다. 지역발전을 위한 사회단체와의 소통 강화를 위해 관내 사회단체장 상반기 간담회를 개최하여 군정 주요시책 홍보 및 현장견학, 소통의 시간 등을 가졌으며, 또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착 지원과 지원을 강화하고자 북한이탈주민 지원 지역협의회 개최와, 47쪽, 운전면허와 각종 자격증 시험 응시 수수료 일부 또는 전액 지원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인 정착에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또한 이·반장 교육 및 이장 사기 진작을 위해 이장 단체상해보험 가입과 모범이장 70여 명에 대하여 해외연수를 실시하였습니다.
48쪽, 하단입니다. 민간 주도 지역사회 가꾸기 및 봉사활동 추진으로 국토대청결운동과 안전신문고 홍보캠페인, 49쪽, 여름철 에너지 절약 캠페인, 비슬산휴양림 풀베기 봉사, 광복절 맞이 나라사랑 태극기 달아주기,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등을 실시하였습니다.
50쪽입니다. 내실 있는 민방위 운영 및 비상대비태세 확립을 위해 민방위 집합교육과 민방위 사이버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제410차 민방위의 날 전국 화재 대피훈련 시에는 가창 파티마요양병원에서 취약시설 화재대피훈련을 실시하였습니다.
51쪽입니다. 비상대비태세 확립을 위해 을지태극연습을 실시하였으며, 인력자원 일제조사와 중점자원 확인의 날 행사를 통해 비상대비 동원자원 관리에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마지막 52쪽이 되겠습니다. 민방위 대피시설 일제점검과 비상급수시설 유지관리, 화생방장비 확충 등을 통해 민방위 시설·장비 유지 관리에도 최선을 다했습니다.
이상 자치행정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자치행정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세무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무과장 이상호 세무과장 이상호입니다.
세무과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55페이지입니다. 지방세 목표 달성의 차질 없는 추진입니다.
2019년 6월 30일 현재 지방세 징수현황은 전년 동기 대비 징수액 1,398만 8,300만 원 대비 209억 2,400만 원이 증가한 1,608억 700만 원으로 이 중 시세가 799억 1,900만 원, 군세는 808억 8,800만 원입니다. 목표액 달성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세목별 목표액은 서면으로 갈음하겠습니다.
56페이지입니다. 납세자 권익 중심의 신뢰세정 추진입니다.
취득세 비과세·감면 안내문 발송 등 신고납부 기한 사전안내를 적극 시행하였으며, 지방세 안내책자를 500부 발간 배부하고, 영세상인 서민을 위한 매월 1회 마을세무사 세무상담실을 운영하는 등 찾아가는 납세홍보를 적극 추진하였습니다.
57페이지입니다. 감면부동산 사후관리 철저 및 법인세무조사 강화입니다.
비과세·감면 부동산 적정 여부를 조사하여 산업단지, 창업중소기업 매각분 등, 타용도 등으로 사용하는 부분에 대해서 87건에 6억 9,500만 원을 추징하였으며, 또한 법인세무조사로 과소신고 및 누락신고분 645건에 8억 8,200만 원을 추징하였습니다. 공평과세 및 성실납세 풍토가 정착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58페이지입니다. 정확한 개별주택가격 조사 결정 및 공시입니다.
지방세 및 국세 과세기준과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자를 활용하는 개별주택 1만 3,828호에 대하여 가격 열람 및 의견 제출을 거쳐 4월 30일 결정공시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59페이지입니다. 지방소득세 과징업무의 차질 없는 수행입니다.
2019년 법인지방소득세는 1,735건에 217억 5,400만 원을 신고 납부하였으며, 사전안내문 발송, 전자신고 납부 홍보 등 신고납부율 제고를 위해 홍보활동도 강화했습니다.
이상으로 세무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세무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징수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징수과장 김용범 징수과장 김용범입니다.
징수과 소관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63쪽입니다. 군금고 관리 및 납세 편의시책 추진입니다.
군금고는 일반회계는 NH농협은행이, 특별회계 및 기금은 대구은행이 취급은행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군민 납세편의를 위해 은행계좌로 한정된 자동납부 수단을 신용카드로 확대 시행하고, 상용메일, 금융앱을 통한 전자고지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미환급금에 대해서는 신속한 환급과 함께 기부제도를 적극 홍보하고 있습니다.
64쪽, 지방세 체납액 줄이기 적극 전개입니다.
6월 말 기준 지방세 체납액은 143억 5,900만 원이며 현년도분이 48억 9,800만 원으로 34.1%를 차지하고 있고 과년도분이 94억 6,100만 원으로 65.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징수율 제고를 위해 체납세 고지서 전수 발송, 500만 원 이상 고액체납자 징수책임제 운영, 부동산 및 차량 압류 등의 체납 처분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65쪽입니다. 세외수입 체납액 적극 징수입니다.
6월 말 기준 세외수입 체납액은 80억 5,600만 원이며 과태료가 94억 9,400만 원으로 전체 체납액의 6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방세와 마찬가지로 체납고지서 및 체납액 안내문자 발송, 부동산 채권 등의 압류를 통한 체납처분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66쪽입니다. 차량 취득세, 자동차세, 주민세 과징 철저입니다.
6월 말 기준으로 차량 취득세, 자동차세, 주민세는 부과액 420억 1,100만 원 징수액 392억 1,400만 원으로 부과액 대비 징수율은 93.3%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부과액 대비 징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자동차세에 대해 연납 홍보를 강화하여 6월 말 기준 연납차량이 전년도 동기 대비 39.6% 증가하였습니다.
정확한 부과와 징수율 제고를 위해 취득세 감면차량에 대한 안내와 추징을 철저히 하고 자동차세, 주민세, 비과세 감면자료 정비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징수과 소관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징수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회계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계과장 임동화 회계과장 임동화입니다.
69쪽, 회계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엄정한 회계질서 확립입니다.
정확한 예산 집행을 위해 회계실무자 교육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지출의 투명성을 높여 2018회계연도 세입세출에 대한 정확한 결산을 실시하였습니다.
70쪽입니다. 복식부기 회계제도 운영으로 재무제표, 재정상태 및 재정운영 실적을 결산에 적용하였으며, 효율적인 자금운영을 위해 월별 자금수급 계획으로 안정적인 자금 운영을 하였습니다.
투명하고 공정한 계약업무를 위해 공사, 용역, 물품에 대한 계약현황을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주민참여감독제, 청렴이행계약제, 나라장터 전자계약 확대를 실시하였습니다.
72쪽입니다. 체계적인 물품관리를 위해 물품 전자테그시스템을 운영하고 물품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정수물품 관리에도 철저를 기하였습니다.
공용차량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 공용차량 유지관리 및 부품 교체 등 정비를 강화하였습니다.
공유재산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공유재산 대부료 부과·징수 업무와 매각처분, 그리고 공유재산의 변상금 부과·징수 업무를 차질 없이 시행하고, 공유재산 실태조사와 관리에도 철저를 기하였습니다.
74쪽입니다. 쾌적한 사무환경 조성 및 청사 관리입니다.
청사시설물 안전관리를 위해 전기, 가스, 기계를 포함한 시설물 부분과 오수처리시설, 승강기, 3개 부분은 전문기관 용역관리를 실시하고 연중 주기적인 안전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공공청사에 대한 재해복구, 배상공제도 가입하고 있으며 쾌적한 사무환경 조성을 위해 주기적으로 외벽청소, 방역에도 철저를 기하고, 청사공간 적정온도 유지 등 에너지 절약도 병행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민 편의 향상을 위한 청사시설 확충입니다. 다사읍 서재출장소 증축공사 사업 내용은 기존 2층 건물에 3층 증축 및 승강기 설치입니다. 현재 공정률은 90% 진행 중이며, 이번 달 9월 말까지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군청사 제2주차장 확장사업, 사업량은 주차면 55면입니다. 추진사항으로는 부지 매입, 설계용역, 계약심사를 진행하였고 금년 내 사업을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회계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회계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종합민원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종합민원과장 신인식 종합민원과장 신인식입니다.
종합민원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79쪽입니다. 먼저 고객 중심의 신속하고 편리한 민원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민원 마일리지제를 시행하여 58%의 단축률을 달성하였습니다.
온라인 민원창구 ‘정부24’를 통해 20만 7,228건을 접수 처리하였고 이용 홍보에도 노력하였습니다.
80쪽입니다. 관외 전입 7,024세대와 출산 950세대에 대해서 전입 및 출산축하 메시지를 담은 서한문을 군정홍보물, 시청사 유치홍보물과 함께 동봉 발송하였으며, 상반기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통해 신규, 재등록, 정정, 말소 등 총 8,137명에 대해서 주민등록 사항을 정리, 실제 거주사실과 일치시켰습니다.
1일 평균 49건, 총 5,873건의 여권을 발급하였으며, 무인민원발급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 옥포읍과 현풍읍의 노후화된 기계 2대를 교체하였고, 특히 유가읍에 법인용 무인민원발급기를 설치해서 테크노폴리스와 국가산단 등 남부권의 입주 기업에게 이용 편의를 제공하였습니다.
83쪽입니다. 고객만족 미소친절 운동을 적극 추진하였습니다.
공직자와 상용근로자의 미소친절 마인드 함양을 위한 교육을 3회 실시했고, 미소친절 시민 모니터단과 함께 ‘현풍 청춘신난장 개장식’ 등 15회에 걸쳐 신청사 유치 홍보를 겸해서 미소친절 붐 조성을 위한 캠페인을 실시하였습니다.
84쪽입니다. 군민행복 민원실 운영을 위해서 쾌적하고 편안한 민원실 환경 조성과 함께 어린이 휴게공간 조성, 임산부 및 장애인 전용창구 운영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배려에도 철저를 기하였습니다.
86쪽입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장 관련 민원 57건, 개발과 보존이 함께하는 농지·산림 민원 156건, 건축신고·허가 등 건축 관련 민원 1만 3,406건, 개발행위허가 등 도시건설 민원 372건 등 각종 허가민원을 우리 직원들의 토론식 업무연찬을 통해서 신속하고 공정하게 처리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이고 신뢰받는 민원행정 구현을 위해 외국어 지방세 안내문 제작 등 8건의 군민불편 해소 사례를 개선과제로 발굴하였으며, 행정정보 공동이용 자체점검을 실시하여 민원 처리부서의 행정정보 공동이용률 제고에도 노력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종합민원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종합민원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정보통신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과장 정원희 정보통신과장 정원희입니다.
정보통신과 2019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91쪽입니다. 정보화 역량 강화 및 신뢰받는 통계서비스 제공으로 4차산업화 대응 주민 및 공무원 정보화교육을 300여 명 실시하였습니다.
사업체조사, 광업·제조업조사, 주민등록 인구통계조사와, 통계연보와 사업체 보고서 발간, 그리고 군 홈페이지 주요 통계 웹서비스 관리 등 신뢰성 있는 통계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92쪽입니다. 공공데이터 및 빅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데이터 신규 개방과 개방데이터 최신화 및 표준화 정비 완료, 시스템별 보유데이터 품질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맞춤형 빅데이터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하여 군정 현안사업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추진과 군 정책 개발에 필요한 분석과제를 부서별 협업하여 발굴해 가겠습니다.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 및 업무용 정품 소프트웨어 구입과 개인정보 접근기록 보관관리 솔루션을 구축하였습니다.
93쪽입니다. 중요기록물의 활용 및 정보공개 활성화입니다.
기록물의 효율적, 안정적 관리를 위하여 부서별 기록관리 실태 지도 점검 및 기록물 평가와 폐기, 부서별 단위과제 정비 및 국가기록원 승인요청 등을 추진 중이며, 94쪽, 기록관리 시스템 재정비 및 기록물 디지털화 사업으로 중요기록물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기록관리 의식개선 및 정부 3.0에 부합하는 원문 정보공개 활성화와, 정보공개 처리기한 단축 등 적극적인 정보공개 서비스를 하였습니다.
95쪽, 협업과 연계를 통한 스마트 행정정보화 추진으로, 중앙보급 행정정보시스템 도입 운영, 안정적·체계적인 백업운영, 홈페이지 웹 접근성 및 호환성 품질 향상, 웹서비스 및 시스템 관리 강화와, 96쪽, 새올행정시스템 온나라시스템 운영, 주민등록 지방세 부동산 등 연계시스템 운영 지원, 통합백업시스템 고도화 확장, 무정전전원장치 및 PC 교체와, 본인 인증 행정전자서명 관리 등 안정적 운영의 정보 인프라 강화를 하였습니다.
97쪽, 정보통신시스템 고도화와 환경개선을 위하여 전 직원 PC와 전화기, 통신케이블 일제 점검, 군청 조직개편 부서 이동 및 신설에 따른 행정망 통신공사 실시 등 정보통신망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 및 해커 침입 예방 보안 강화와, 정보통신 민원업무를 신속 정확히 추진하였습니다.
98쪽입니다. 자가통신망 구축 및 운영으로 군 본청과 읍면 사업소 간에 자가통신망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 완료하여 통신요금 절감효과와, 군청사 통신실의 정보통신망 고도화 사업으로 통신실 백본, 보안, 네트워크 관리장비 등 교체공사와, 청내방송 및 각 회의실 영상방송시스템 개선공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99쪽입니다. 주민 안전을 위한 CCTV관제·운영입니다.
CCTV 통합관제센터에서는 CCTV 1,500여 대를 관제요원 37명과 경찰 3명의 연중 24시간 운영 및 각종 범죄, 재난, 재해 발생의 신속 대응체계 확립과, 장애 발생 시 신속복구 조치 등의 안정적 운영 및 유지관리를 하며, CCTV 인프라 확대를 위하여, 100쪽입니다. 범죄 사각지역 60개소 CCTV 신규 설치, 저화질 CCTV 카메라 교체, 주민제안 방범취약지역 7개소 CCTV 설치, CCTV통합관제센터에 스마트관제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개선사업 완료 등 CCTV 인프라를 확대 구축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영상정보 관리를 위하여 근무자 신분증 상시 패용과 제한구역 지정 및 출입문 이중잠금장치, 영상정보 자료 유출 방지 등 시설 보안 강화로 영상정보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있습니다.
이상 정보통신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정보통신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일자리경제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자리경제과장 민병제 일자리경제과장 민병제입니다.
일자리경제과 2019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03쪽입니다. 먼저 중소기업 육성 및 노사화합을 위한 산업단지 등 청년 근로자 기숙사 임차비 지원사업으로 14개 기업 43명을 지원하였습니다.
106쪽입니다. 시장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17억 9,500만 원을 투자, 2층 3단 94면의 화원공설시장 자주식 철골주차장 설치공사를 완료하였습니다.
107쪽입니다. 현풍 백년도깨비시장 주변환경 정비사업은 보상을 완료하고 노후건축물 철거와 실시설계 중에 있으며 금년 말까지 준공토록 하겠습니다.
108쪽입니다. 청년상인의 조기 정착을 위하여 4억 2,000만 원의 예산으로 현풍 백년도깨비시장 내 청년몰을 조성, 완공하여 청년상인 지원에도 최선을 다하였습니다.
109쪽입니다. 에너지 공급 및 안전관리 강화를 위하여 77개소의 석유판매업소에 대한 관리·점검을 실시, 위반업소 4개소에 대하여 사업정지 등 행정처분을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현풍읍 신기리 마을에 추진 중인 LPG소형저장탱크 보급사업은 도로굴착 협의를 완료하고 실시설계를 하고 있습니다.
112쪽입니다. 산업단지 조성 및 기업경쟁력 강화 지원입니다.
테크노폴리스는 106개 업체가 입주하고 있으며, 금년 12월에 4단계 사업 준공 예정입니다.
대구 국가산업단지는 금년 6월 말 현재 182개 업체가 입주계약을 한 가운데 69개 업체가 준공 가동하고 있으며, 2021년 6월 말까지 2단계 사업을 준공할 예정입니다.
114쪽입니다. 옥포농공단지 노후 오수관로 정비공사는 4억 원의 예산으로 650m의 노후관로 정비를 6월 말에 완료하였습니다.
115쪽입니다. 취약계층 일자리 사업 추진으로, 대구형 일자리 디딤돌사업인 공공근로사업을 3단계에 걸쳐 추진, 740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였습니다.
116쪽입니다. 달성 일자리센터와 행복일자리 나눔터를 통하여도 1,300여 명에게 취업을 알선, 400여 명이 취업을 하는 성과도 거양하였습니다. 118쪽입니다. 또한 60여 업체 천여 명이 참여한 취업박람회를 3회에 걸쳐 개최하였으며, 하반기에도 채용 및 취업한마당 행사를 개최하여 일자리 창출에 힘쓰겠습니다.
120쪽입니다.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마을기업 3개 업체에 1억 1,000만 원을 지원하였으며, 예비사회적기업 2개 업체에 대하여는 일자리창출사업으로 1,500만 원을 지원하여 향후 사회적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일자리경제과 소관 주요업무 추진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일자리경제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환경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경과장 이현주 환경과장 이현주입니다.
환경과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23쪽,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사는 환경행정 추진입니다.
자연보호 달성군협의회에 1,000만 원을 자연정화활동 및 행사 경비로 지원하고, 주민 환경의식 고취를 위하여 체험 환경교육을 23회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환경오염물질 배출원인자에 대한 부담금 부과 징수와, 온실가스 진단컨설팅, 저탄소생활 실천 홍보캠페인 등 생태교란 동·식물 제거사업을 실시하였습니다.
125쪽입니다. 유해 동물로 인한 주민피해 최소화를 위해 수확기 피해방지단 및 멧돼지 기동포획단을 운영하였으며, 울타리 설치와 기피제를 보급 완료하였고, 농작물 피해보상 가구에 보상금을 지원하였습니다.
126쪽,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및 환경보건 관리입니다.
사업장 대기오염 및 소음 저감을 위해 배출업소 점검과 위반사업장에 대한 행정처분을 하였으며, 악취 관리를 위해 제지공장 등 악취민원 사업장에 대해 자체 개선계획 이행여부 확인 및 악취검사를 하였습니다.
127쪽, 주거생활 주변 대기 및 소음 관리를 위해 대기오염 예·경보제, 환경신문고 운영을 하고, 주민 건강피해 예방을 위해서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오염도 검사와 주택의 슬레이트지붕 철거 지원, 석면 해체·제거 관리를 하였으며, 128쪽, 저탄소 생활 유도를 위한 탄소포인트제 운영과, 운행차 배출가스 점검을 하였습니다.
129쪽입니다. 기업과 함께하는 수질환경 보전입니다.
폐수배출업소 환경관리인 교육 등으로 기업체 자율환경관리 역량을 강화하였고, 지도 점검 및 수시검사를 통해 체계적인 관리와 수질오염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를 구축하였으며, 130쪽, 수자원 개발 및 관리를 위해 지하수 관리 및 수질측정망 운영과 토양오염도 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131쪽입니다. 수질오염 예방을 위한 오수·가축분뇨 관리입니다.
정화조 오수처리시설 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수질검사와 청소 실시, 관리기준 등을 안내하였으며, 가축분뇨 배출업소와 공중화장실을 점검하였습니다.
마지막 132쪽입니다. 수자원 보호를 위한 상수원보호구역 관리입니다.
17명의 감시인력으로 수질오염행위 등 불법행위 단속을 통해 상수원보호구역을 관리하고 있으며, 보호구역 내 주민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노후주택 수리 등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공동 오수처리시설 위탁운영 등 상수원보호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이상 환경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환경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업정책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정책과장 김현태 농업정책과장 김현태입니다.
농업정책과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35쪽입니다. 농업인 복지증진 및 농가소득 사업으로 농업인자녀 고교학자금을 지원하였으며, 쌀소득 보전직불제사업, 밭농업 직불제사업은 등록 및 이행 점검 중에 있습니다.
137쪽입니다. 농업경쟁력 제고사업의 일환으로 벼 병충해 무인헬기방제사업, 농약 안전사용장비 공급, 벼 육묘장 개보수 지원사업은 완료하였습니다.
139쪽입니다. 축산농가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거세장려금, 인공수정료, 우수축 출하장려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40쪽입니다. 가축재해보험료 지원, 면역증강제 지원, 분뇨처리용 톱밥 지원사업은 현재 완료하였습니다.
141쪽입니다. 축산기자재 지원사업으로 고온기 대비 송풍기 166대를 지원 완료하였습니다. 142쪽에서 143쪽입니다. IoT 캡슐 지원사업, 양돈농가 기자재 지원사업은 현재 보조금 교부결정 후 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며, 143쪽, 착유시설 개선사업, 조사료 곤포사일리지 구입비 지원사업 등을 적기에 지원하여 축산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45쪽입니다. 가축전염병 차단방역을 위하여 가축질병 방역대책 상황실 및 거점소독실을 설치 운영하고 있습니다.
146쪽입니다. 구제역 예방백신 지원사업, 소규모 농가 공동방제단 운영을 통해 구제역 차단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147쪽, 가축질병 예방에 따른 축산경쟁력 제고사업을 위해 소 브루셀라병, 결핵병 채혈검사비 지원, 가축전염병 예방접종 및 시술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148쪽입니다. 축산물 안전성 강화를 위해 축산물 취급업소 인허가 및 지도 단속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동물보호사업에 따라 유기동물 보호사업 길고양이 개체수 조절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150~151쪽입니다. 친환경농업 육성을 위해 친환경농업 직불제사업, 농산물 인증수수료 70농가 지원, 유기질비료 4,846톤을 공급하였으며, 151쪽, 토양개량제 지원 700톤, 시설원예 친환경 농자재 지원사업은 완료하였습니다.
153쪽입니다. 원예작물 소득 증대사업의 일환으로 농업분야 에너지 절감시설 지원사업, 자동선별기 18대 지원, FTA 대응 원예작물 경쟁력 지원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154쪽입니다. 시설원예 난방기 지원, 장기성필름 지원, 농산물 결속기 지원 18대를 지원하였습니다.
끝으로 155쪽입니다. 원예유통 활성화를 위해 채소가격 안정 지원사업, 농산물 판매박스 지원사업 등을 통해 원예유통 활성화 및 달성군 농업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농업정책과 주요업무 추진실적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농업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청소위생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청소위생과장 박창규 청소위생과장 박창규입니다.
청소위생과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159페이지입니다.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매월 클린데이 실시와 청소인력 및 장비의 효율적 관리로 생활쓰레기를 적기에 수거하였으며, 재활용 분리배출과 음식물쓰레기 감량을 위해 10개 공동주택에 RFID 66대를 설치하였습니다.
160페이지입니다. 사업장 폐기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폐기물처리업 허가 889건을 신속하게 처리하였으며, 폐기물사업장 247개소를 점검하여 위반업소에 대해 고발 9개소, 허가취소 1개소 등 21개소에 대해 행정처분 하였습니다.
161페이지, 지역 외식산업 역량 강화입니다. 음식점 고급화를 위한 음식문화 개선을 위해 나트륨 줄이기 사업, 친절·청결한 참 맛집 운영, 모범음식점 인센티브 지원사업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음식점 영업주 3,070명에 대해 친절 및 식중독 예방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162페이지입니다. 식품안전관리 및 건전한 문화공간 구축을 위해 영업주 1,100명에 대한 교육과 920개소에 대한 위생관리 실태를 지도 점검하였으며, 음악 및 게임업소, 노래연습장, 공중위생업소 등에 대한 지도 점검도 실시하였습니다.
163페이지입니다. 식품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식품 제조·가공업소 30개소에 대해 위생관리 등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식품 유통·판매 단계부터 안전관리를 위해 186건을 수거 검사 의뢰하였으며, 식품사고 신속 대응체계도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
164페이지입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를 위해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으로 181개소에 대해 어린이 위생 및 영양관리를 하였으며,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지정 등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청소위생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청소위생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공원녹지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공원녹지과장 홍만표 공원녹지과장 홍만표입니다.
공원녹지과 2019년 주요업무 추진실적에 대하여 보고드리겠습니다.
167쪽입니다. 아름다운 녹지 조성 관리입니다. 조경지 및 수목 유지관리를 위해 연중 기간제근로자 사역 및 재료비 등 7억 6,800만 원을 들여 전지, 병충해 방제, 시비, 관수작업 및 시설물 긴급보수를 적기에 시행하였으며, 수목관리사업은 3건에 8억 7,200만 원을 투자하여 민원처리 등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168쪽입니다. 밝고 쾌적한 녹지 조성사업 추진현황으로 가로수 조성, 명품 가로숲길 조성, 무궁화동산 조성 등 5개 사업은 완료하였으며, 화원 명곡, 다사 죽곡, 가창지역 주요 가로변 경관개선사업은 하절기 폭염에 따라 공사 중지하였으나 곧 재개하여 10월 중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은행나무 암나무 개체공사는 120그루로 11월 초순까지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169쪽입니다. 아름다운 꽃길 조성, 관광지 화훼 식재지 등 관리사업입니다.
연중 시기에 따라 기간제 근로자를 4명에서 최대 16명까지 사역하여 초화류 식재, 제초 및 시비, 관수작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170쪽입니다. 아름다운 꽃단지 및 꽃길 조성사업 추진현황입니다. 관광지 화훼 식재공사, 꽃단지 조성, 가로변 자투리공간 꽃길 조성, 교량 꽃길 조성사업 등 6건 9억 1,100만 원을 투자하여 적기에 시행하고 있습니다.
171쪽입니다. 명품 산림휴양공간 조성사업입니다.
산림자원의 효율적 유지 관리를 위해 임도 및 등산로, 둘레길, 탐방로 등의 시설물 정비와 자연휴양림 및 산림욕장 관리 및 정비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산림휴양 프로그램 운영으로 화원 유아숲체험원 프로그램 운영, 비슬산자연휴양림 숲해설 프로그램 운영, 비슬산 치유의 숲 프로그램 운영 등 3개 사업을 정상적으로 운영 추진 중에 있습니다.
172쪽입니다. 산림자원화 기반 구축사업 추진현황입니다. 총 9건에 74억 7,600만 원으로 생활권 등산로 정비사업, 임도 구조개량 및 보수사업, 둘레길 보완사업, 비슬산자연휴양림 콘도2 시설 개선공사는 현재 완료하였으며, 옥포 기세 임도, 달창지·노홍지 수변 둘레길 조성사업은 현재 진행 중에 있습니다.
173쪽입니다. 소중한 산림자원 보호, 산불 방지대책 추진입니다.
금년 상반기는 1월 1일 ~ 5월 31일까지 추진하였으며 가을철에는 11월 1일 ~ 12월 31일까지 운영할 계획입니다. 산불진화용 헬기 1대 7억 원으로 임차 운행하고 있습니다.
산림 병해충 예찰 및 방제사업으로 기간제근로자 14명을 운영하고 있으며, 산사태 등 산림재해 예방 및 예찰을 위하여 기간제 근로자 3명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174쪽입니다. 산림보호사업 추진현황입니다. 주요사업으로 7건에 46억 3,400만 원입니다. 현재 계류보전사업, 사방댐 조성, 조림사업 등 6개 사업은 완료하였으며 숲가꾸기사업은 9월 중 완료할 예정입니다.
175쪽입니다. 이용객 중심의 공원 조성 관리 분야로 기간제근로자 운영 등 9개 분야에 연중 10억 7,600만 원을 투자하여 쾌적한 공원 유지 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176쪽입니다. 공원 조성 및 정비사업 추진현황으로 9건에 92억 1,000만 원입니다. 주요사업으로 옥연지 송해공원 조명분수 공사는 계약업체 도산 및 불성실 시공으로 계약해지한 상태이며, 강림 상리 어린이공원 미집행 도시공원 토지매입 사업은 현재 실시설계 용역을 완료하고 보상 추진절차 이행 중이며, 창리 행정1, 무등1 어린이공원 조성공사는 실시설계용역 및 공원 조성계획 변경을 완료하고 국유지 무상 귀속협의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노후 어린이공원 정비사업은 발주하여 11월 준공 예정이며, 다사 서재 근린공원 보완사업은 9월 중 발주 예정입니다. 도시공원 수경시설 조성사업 3개 사업장은 완료하였으며, 풍차 어린이공원은 10월 중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공원녹지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공원녹지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복지정책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복지정책과장 나상권 복지정책과장 나상권입니다.
복지정책과 보고드리겠습니다.
179쪽입니다. 먼저 복지시설 운영 지원 및 보훈행정 추진을 위해 대구요양원 결핵시설과 달성복지재단에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참전명예수당은 1,035명에게 월 8만 원, 보훈예우수당은 730명에게 월 5만 원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180쪽입니다. 보훈 10개 단체에 운영비와 사업비를 지원하였고, 유치곤 장군 호국기념관 관리, 충혼시설 유지 보수, 보훈회관 위탁운영비를 지원하는 등 국가유공자에 대한 지원과 예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181쪽입니다. 건강하고 활력 있는 노후생활 지원을 위해 경로당 일거리 창출사업으로 36개소 경로당에 300명에게 9억 1,600만 원,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으로 2,521명에게 70억 6,700만 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노인 여가시설인 경로당 317개소에 운영비와 냉·난방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경로당 신축은 5개소로 현풍 부1리는 9월, 유가 가태2리 구지 내2리는 12월, 가창 삼산리는 12월 중에 준공 예정입니다. 구지 가천리는 설계 중입니다.
182쪽입니다. 저소득노인 생활 지원을 위한 기초연금은 2만 940명에게 539억 9,000만 원의 예산으로 노인 단독세대 30만 원, 부부노인 최대 48만 원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달성군 노인복지관 에어컨 설치, LED조명 교체 등 환경개선사업에 1억 7,300만 원을 집행하였습니다. 군 노인복지관 2개소에 23억 8,000만 원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밖에 경로우대 이용업소, 노인교실 운영 지원, 양로시설 운영비, 재가노인복지시설 운영비, 경증 치매노인 기억학교 운영 지원 등 각종 노인복지 서비스와 노인복지시설 지원에도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184쪽입니다. 여성의 활동역량 강화와 사회참여 확대를 위하여 여성친화도시 조성하는 조례를 제정하였고, 군민 참여단을 모집하여 역량 강화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여성능력 개발을 위해 여성대학 운영, 여성 취업 및 창업교육에 3,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여성문화복지센터 운영비 19억 8,000만 원을 지원하였고, 별관, 수영장, 에어컨 시스템 교체 등 환경개선공사를 완료하였습니다.
185쪽입니다. 건강가정과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해 아이돌봄 지원사업에 9억 9,700만 원, 다문화가족 특화사업 등에 5억 2,800만 원을 집행하였습니다.
저소득 한부모가족을 위해 자녀 아동양육비와 가계지원비 등 8억 1,200만 원을 집행하여 아동들이 건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186쪽입니다. 보육의 공공성 강화와 서비스 제고를 위해 우리 군 시책사업인 어린이집 냉·난방비 지원, 장난감도서관 설치 운영 지원 등 14개 사업에 27억 5,300만 원의 예산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187쪽입니다. 0세~2세 영유아 5,820명에 대한 영유아 보육료 지원, 3세~5세 2,741명에 대한 누리과정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아동 4,872명에 대한 가정양육수당 지원 등 4개 사업에 501억 4,300만 원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보육시설에 대한 교사 인건비와 수당으로 134억 9,900만 원, 공공형 어린이집 등의 시설운영비와 공기청정기 구입에도 예산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189쪽입니다. 옥포지구 등 국·공립 어린이집 4개소에 7억 3,500만 원의 예산으로 리모델링하여 현재 24개소의 국·공립 어린이집이 확충되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10월 중에 3개소 추가 개원 예정입니다.
장난감도서관은 현재 6개소를 운영 중에 있습니다. 금년 말 논공 종합사회복지관이 증축되면 1개소를 추가 조성하여 육아비용 경감과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보육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복지정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생활보장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생활보장과장 이재철 생활보장과장 이재철입니다.
생활보장과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먼저 193쪽입니다. 국민기초생활 수급자 및 저소득층의 안정적 지원으로 수급권자 6,200세대에 생계급여, 양곡할인 등의 110억 원 지원 및 신입생 자녀 교복비, 거동 불편자 보행보조기 지급과 희망찾기 가족사랑 여행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195쪽입니다. 자활사업 내실화를 통한 자립기반 조성으로 근로능력이 있는 조건부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115명에게 근로유지형 일자리 등 5개 유형의 자활사업 참여 근로기회를 제공하였으며, 일을 통한 탈빈곤 촉진을 위한 희망키움 통장 사업도 내실 있게 추진하였습니다.
197쪽입니다. 복지대상자 통합조사·관리로 주민편의 제공과 부정수급 방지를 위하여 통합 신규대상자 4,800여 가구의 생활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공적자료에 의한 복지대상자 4만 1천여 가구 확인조사로 급여의 적정성을 유지하였습니다.
198쪽입니다. 맞춤형 주거복지 지원으로 기초주거급여, 수선유지급여에 35억 원 지원과, 영구임대아파트 및 주택 매입임대 등에 예비 입주자 141가구 선정과, 사랑의 집수리 지원사업,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사업 추진으로 주거복지 실현에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201쪽입니다. 건강생활 유지를 위한 의료급여 지원으로 장애인 보장구 구입비, 요양비 지원과 저소득층 국민건강보험료 지원으로 취약계층의 의료 사각지대 해소와 저소득 주민의 건강증진과 생활안정을 도모하였습니다.
이상으로 생활보장과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생활보장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희망지원과장께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희망지원과장 김승일 희망지원과장 김승일입니다.
2019년도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05쪽입니다. 복지자원 발굴 및 이웃돕기 추진입니다.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추진으로 부모·아동 상호관계 증진서비스 등 14개 사업에 1,473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희망나눔 사랑의 이웃돕기 추진으로 자원 발굴은 착한가게 278개소, 착한기업 23개소 등이 가입하여 매월 일정금액을 후원하고 있습니다. 지원으로는 사회복지시설 및 저소득주민에게 백미 생필품 등을 1,420세대에 지원하였습니다.
206쪽입니다. 자원봉사활동 전개로 자원봉사센터를 달성복지재단에 위탁하여 이동복지 종합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자원봉사자 4만 5,235명이 등록하여 활동하고 있습니다.
207쪽입니다. 달성군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은 대구가톨릭사회복지회에 위탁하여 회원 6,735명에게 사례관리사업 등 35종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8쪽입니다.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으로 희망복지 구현입니다.
통합사례관리로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저소득 298가구에 사례관리를 하고 있으며, 긴급 지원사업으로 생계·의료급여 등 987건에 6억 8,0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09쪽입니다. 달성군 복지기동대 및 ‘온기한끼’ 사업으로 긴급지원금 연계와 밑반찬 지원을 하였습니다.
211쪽입니다.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 및 사회통합 지원입니다.
장애인복지시설 및 장애인단체 등 18개소에 운영비 등 47억 300만 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장애인 생활안정 지원사업으로 장애인연금 등 3,784명에게 27억 8,3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12쪽입니다. 장애인 편의 및 복지증진 사업으로, 장애인 활동 지원 등 3개 사업에 가사, 간병, 심리치료 등 880명에게 60억 2,800만 원을 지원하였습니다.
213쪽입니다. 드림스타트 및 아동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입니다.
사례관리 대상자를 분야별 프로그램 운영으로 건강, 복지, 교육 등 22개 프로그램에 807세대에 건강검진과 학습지도 등을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지역아동센터에 운영비 환경개선비 등을 31개소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214쪽~215쪽입니다. 마지막으로 취약계층 아동보호 사업으로 아동수당 및 아동급식 등 6개 사업에 2만 400명에게 119억 1,500만 원을 지원했습니다.
이상으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희망지원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교통과 소관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교통행정담당 윤쌍보 교통과 교통행정담당 윤쌍보입니다.
교통과 소관 2019년도 상반기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드리겠습니다.
219쪽입니다. 교통복지 실현 및 교통안전문화 정착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노선 조정 및 연장을 통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도모하였으며, 교통안전교육 6회, 교통안전 캠페인을 2회 실시하였습니다.
221쪽입니다. 농촌형 교통모델 달성행복택시 사업을 12개 마을 추가하여 5개 읍면 32개 마을로 확대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222쪽입니다. 주·정차 단속 및 교통문화 선진화를 위해 불법 주정차 위반 3만 73건을 단속, 과태료 12억 7,200만 원을 부과했습니다.
227쪽입니다. 주차환경 개선사업 추진으로 현풍 하리 공영주차장 조성공사를 10월 완료할 계획으로 있으며, 현풍 상리 공영주차장과 하빈 대평1리 마을공동주차장 조성을 완료하였습니다.
228쪽입니다. ‘창조문화바람 하이파이브 현풍’ 사업은 9월 말 보행환경 개선과 경관조명 공사를 준공하고 12월에 북카페 프로그램 사업까지 완료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쪽입니다.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 조성사업은 10월에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020년도 상반기 중 실시설계를 하겠습니다.
231쪽입니다. 효율적인 화물 운송사업 및 차량 관리를 위해 화물자동차 운송사업 허가 및 지도·관리와 사업용 화물자동차 유류보조금 지급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233쪽입니다. 고객만족 차량민원행정 추진에 철저를 기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교통과 소관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주요업무보고서 별책)
○의장 최상국 교통행정담당,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계획된 부서의 주요업무 추진실적을 보고받았습니다.
보고하신 실·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오늘 회의는 이것으로 모두 마치겠으며, 내일 오전 10시에 제3차 본회의를 열어 나머지 부서에 대한 업무보고를 받도록 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1시04분 산회)
○출석의원(10인) |
최상국서도원구자학하중환 |
김정태이대곤김보경신동윤 |
도일용김은영 |
○출석공무원 | |
군수 | 김문오 |
부군수 | 진용환 |
자치행정국장 | 신성진 |
경제환경국장 | 곽국일 |
건설도시국장 | 지창수 |
정책관광국장 | 표준식 |
보건소장 | 박미영 |
농업기술센터소장 | 배상일 |
기획예산실장 | 방호현 |
법무감사실장 | 류준영 |
자치행정과장 | 김외식 |
세무과장 | 이상호 |
징수과장 | 김용범 |
회계과장 | 임동화 |
종합민원과장 | 신인식 |
정보통신과장 | 정원희 |
일자리경제과장 | 민병제 |
환경과장 | 이현주 |
농업정책과장 | 김현태 |
청소위생과장 | 박창규 |
공원녹지과장 | 홍만표 |
복지정책과장 | 나상권 |
생활보장과장 | 이재철 |
희망지원과장 | 김승일 |
건설과장 | 김해성 |
안전방재과장 | 전명진 |
도시과장 | 김영권 |
도시정비과장 | 위광범 |
건축과장 | 정동구 |
토지정보과장 | 전종규 |
정책사업과장 | 최태식 |
문화체육과장 | 김진천 |
관광과장 | 공진환 |
교육청소년과장 | 곽윤환 |
보건과장 | 오상덕 |
건강증진과장 | 이호일 |
농촌지도과장 | 오명숙 |
○의회사무국 참석자 | |
사무국장 | 김종호 |
전문위원 | 김종석 |
전문위원 | 이원한 |
전문위원 | 송창훈 |
의사담당 | 주강숙 |
지방행정주사보 | 서금녀 |
지방속기주사보 | 배진영 |